석가모니 부처님은 룸비니 동산의 무우수나무 아래서 탄생하셨습니다.
태어나자마자 동서남북으로 일곱 걸음을 걷고 난 뒤, 두 손을 하늘과 땅을 가리키면서 사자후를 외쳤습니다.
“하늘 위 하늘 아래 모든 생명 존귀하다.
세계의 고통 받는 중생들을 내 마땅히 편안케 하리라”
천상천하 유아독존 삼계개고 아당안지(天上天下 唯我獨尊 三界皆苦 我當安之)
이 외침은 장차 고통에 빠져 허덕이고 있는 모든 중생을 구제하겠다는 선언, 즉 고통의 바다에서 헤메고 있는 눈 먼 중생들을 위하여 걸림 없이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는 삶의 방법을 제시하겠다는 선언인 것입니다.
부처님의 이러한 선언은 태자의 신분을 버리고 6년간의 고행 끝에 부다가야의 보리수나무 아래서 깨달음을 얻은 후 녹야원에서 처음으로 다섯 비구를 상대로 법을 설함으로 시작하였고, 이후 45년 동안 인도 전역을 다니면서 중생들을 올바른 삶의 방향으로 인도하셨습니다. 부처라는 말은 샨스크리트어 ‘붓다’(Buddha)를 따서 만들어 졌으며, 깨달은 사람을 뜻합니다.
깨달음이란, 부처님 체험 통해 증득
깨달음이란 단순한 개념이나 관념이 아니며 부처님이 체험을 통하여 증득한 것입니다.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가르쳐 주신 그 가르침 또한 배워서 알아야 하는 지식에 그치는 것이 아니며, 오로지 그 가르침을 받고 그에 따라 실천 수행해야 합니다.
깊고 참된 진리를 깨달은 이는 마침내 생사의 괴로움이 완전히 없어진 불교 최고의 이상인 열반을 성취합니다. 부처님은 모든 이들의 이익과 안락을 위해 고통 속에 허덕이는 중생들을 구제하게 위해 이 사바세계로 내려오셨습니다. 그 분이 나신 곳은 호화찬란한 궁궐이 아니라 길가의 동산 위입니다. 길에서 나서 길에서 살다 가신 우리 스승의 탄생은 그 자체가 중생에 대한 끝없는 연민과 사랑의 표현인 것입니다.
부처님은 중생을 떠나 진리를 구하지 않으셨고 중생가운데서 중생과 함께 하신 자비의 걸음이셨습니다. 지금 이 순간도 부처님은 우리곁에 계시어 뭇 중생을 안락과 행복으로 인도해 주십니다.
부처님 오신 날을 맞이하여 2천만 불자들은 부처님의 탄생을 경배하는 것은 물론 ‘참 나’를 찾겠다는 발심을 내고 부처님의 중생구제원력을 세워 실천하도록 해야 합니다. 중생의 병의 종류에 맞춰 약을 주셨던 부처님과 같이 우리 불자들은 이 시대의 중생의 고통에 맞게 처방을 해주는 지혜를 가져야 합니다.
우리 사회가 물질적 풍요를 누리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 이변에는 빈부격차와 정신적 혼돈, 그리고 분단이라는 굴레 속에서 아직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종교적 갈등과 이념의 대립으로 고귀한 생명이 죽어가고 있는 현실 또한 우리 불자가 이 시대에 처방해야 할 과제들인 것입니다.
탄생 자체가 중생에 대한 끝없는 사랑
부처님이 오셨습니다. 자비의 손과 지혜의 눈이 열렸습니다. 자기이 것을 덜어서 부족한 자에게 채워주고 원망을 감사의 마음으로 돌리도록하며 본래 우리는 하나이며 한 몸이라는 동체대비의 이상을 실현하며 나의 평화가 이웃의 평화로 이웃의 평화가 세계의 평화로 이루어짐을 설파하고 계십니다.
세계는 하나의 꽃입니다. 윤회를 거듭하는 삶은 어리석음에 얽메여 끌려다니는 노예의 삶입니다. 윤회를 벗어난 삶은 스스로 자신의 행동을 결정하는 자유로운 주민의 삶입니다. 마음과 부처와 중생이 아무런 차별도 없다고 하셨습니다.
이 땅에 오신 부처님 우리 마음안에 오신 부처님께 찬탄과 공경을 올립니다.
성 행 청계사 주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