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ㆍ장애인 개인정보로 휴대전화 불법 유통

가정의 달… 어르신들 쌈짓돈까지 노리는 ‘불효자 사회’
라면·세제 주고…  노인들 등쳐 4억 가로채고

봉사활동 등으로 노인들에게 환심을 사 명의를 도용한 뒤, 휴대폰을 개통하고 이를 처분해 돈까지 챙긴 일당이 경찰에 검거됐다.

경기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상습사기 등의 혐의로 J씨(30) 등 4명을 구속하고, 안산지역 조직폭력배 P씨(36) 등 9명을 사문서위조 등의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고 8일 밝혔다.

이들은 지난해 10~11월 수도권 일대 경로당 등을 돌아다니며 모은 70~80대 노인 등 197명의 개인정보로 휴대폰 430여대를 개통, 시중에 유통시켜 4억원 가량을 챙긴 혐의다.

봉사활동 가장해 환심사고…

노인ㆍ장애인 신분증 건네 받아

197명에 휴대전화 개통 사기

이들은 노인들에게 세제, 라면, 계란 등 3천원에서 5천원 상당의 사은품을 나눠주고 근거를 남겨야 한다며 신분증을 건네받아 미리 준비한 휴대용 스캐너로 개인정보를 수집, 범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범행을 위해 휴대폰 판매점을 개업하기도 했으며, 휴대폰 개통 후에는 개통된 단말기를 해외로 밀수출하거나 장물로 처분해 돈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함께 장애인 K씨(37·지체장애4급)는 도내 모 협회 사무실을 드나들면서 장애인 복지카드 등을 복사하는 수법으로 장애인 59명의 개인정보를 빼돌려 J씨에게 400만원에 넘긴 것으로 밝혀졌다.

경찰 관계자는 “일부 노인 중에는 자신도 모르게 개통된 휴대폰이 시중에 유통돼 성인전화와 소액결제 등으로 한달 238만원의 통화요금이 부과되기도 했다”며 “인적사항이 도용된 사실을 잘모르는 사회적 약자를 노렸다”고 말했다.

이명관기자 mklee@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