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 도입한 친환경 바람에 사료확보 등 한계 지적
박근혜 정부가 ‘창조경제’를 도입한 친환경 축산 육성을 추진할 계획이지만 정작 축산농가들은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2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정부는 축산부문에 국정 기조인 ‘창조경제’ 개념을 도입, 가축분뇨의 에너지화 설비 지원, 동물복지 등을 위한 시설 현대화, 친환경 축산단지 조성 등의 친환경 축산업 육성계획을 마련했다.
환경오염과 가축질병 문제 등을 일으키는 생산성 위주의 밀집사육 방식에서 벗어나 농가의 안정된 소득을 보장하고 소비자도 안심하고 축산물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이를 두고 농민들은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생산성이나 친환경 사료 확보 등 한계가 많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밀집사육 방식보다 넓은 면적의 땅이 필요하고 친환경 유기사료는 일반사료보다 2~4배 비싸 투자 대비 생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일반 축산물보다 높은 가격을 책정할 수밖에 없지만 판로 확보가 어렵고 차별성을 잘 드러내지 못할 경우 소비자로부터 외면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용인에서 한우를 사육하고 있는 박모씨(56)는 “친환경 사육방식이 좋다는 걸 누가 모르겠나”라며 “하지만 생산비도 건지기 힘든 요즘 같은 때에 관리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친환경 축산으로 전환하기는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친환경 축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농가가 안정적으로 경영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의 합리적인 친환경 생산기준을 정립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태성 농협경제연구소 부연구위원은 “우선 농가 소득을 보장하고 국내산 친환경 조사료가 원활히 생산·공급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며 “또 친환경 축산물의 차별성을 적극적으로 홍보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