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세종특별자치시의 자족기능 유치를 위해 투자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고 하반기 중으로 대형 유통시설 3개를 착공하고 사립대와 국·공립대의 세종시 입주 심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또한 세종시 건설 예정지역 주변의 난개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경관심의제도를 도입하고 인허가 심사를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3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세종특별자치시 지원위원회 첫 회의를 열어 정부기관의 세종시 이주 계획과 함께 세종시 활성화방안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세종시지원위원회 회의는 당초 지난 22일 열리기로 했으나 국회일정 등으로 미뤄져 이날 열렸다.
박찬우 안전행정부 제1차관은 이날 보고에서 올해 말 2단계 중앙행정기관 이전 계획에 따라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가보훈처 등 6개 부처가 세종시로 갈 예정이라고 보고했다.
소속 기관을 포함해 이전직원 수는 모두 4천800여명으로 정부세종청사 2단계 공사가 완료되는 11월16일 이후 최대한 빠른 시일안에 6개 부처의 이전을 마무리할 방침이다.
청사가 신축중인 한국개발연구원(KDI), 한국법제연구원, 한국조세연구원 등 3개 기관(총 750여명)도 오는 12월부터 내년 1월까지 세종시로 이전한다.
세종= 김요섭기자 yoseop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