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접촉 과정 왜곡 공개 비판… “대화의 문 열려 있다” 강조
정부는 13일 북한이 남북당국회담 무산을 우리 정부의 책임으로 돌리고 실무접촉 과정을 일방적으로 공개한 데 대해 “억지 주장”이라면서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라고 비판했다.
통일부는 이날 “북한이 수석대표 ‘격’ 문제를 이유로 남북당국회담을 무산시키고 오늘 담화를 통해 실무접촉 과정을 일방적으로 왜곡해 공개한 것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수석대표급을 맞추는 것은 남북 간 현안에 대한 실질적 협의를 통해 새로운 남북관계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것”이라면서 “대화 상대방에 대한 존중의 표시이자 신뢰형성의 기초”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또 “북한이 과거 남북회담 관행을 운운하고 있으나 과거 관행을 일반 상식과 국제적 기준에 맞게 정상화시켜 나가야 한다”라면서 “정부는 북한에 대화의 문을 열어두고 있으며 북한이 성의를 갖고 책임 있게 남북 당국 대화에 호응해 오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당국회담 무산에 대한 책임을 남측으로 돌린 북한의 주장에 대해 “억지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이 당국자는 “당국 대화가 무산된 것은 수석대표급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다가 일방적으로 대표단 파견을 보류하고 무산시킨 북한의 태도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향후 남북대화 재개 가능성에 대해서는 “남북이 같이 함께 가야 하는 길을 제시하고 의연하고 차분하게 가겠다”라며 “그 길로 북한이 준비되면 들어오면 된다. 북한이 책임 있게 호응해 나와야 한다는 입장을 계속 고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북한의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이날 대변인 담화를 통해 “우리는 털끝만 한 미련도 가지지 않는다”라며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 남한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조평통은 “북남당국 회담이 괴뢰패당의 오만무례한 방해와 고의적인 파탄책동으로 시작도 못 해보고 무산되고 말았다”라며 “남조선기업가들을 비롯한 각 계층을 죽음과 비탄 속에 몰아넣은 죄행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으며 이번 사태가 북남관계에 미칠 엄중한 후과에 대해 전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라고 밝혔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