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장애인보호작업장 근로자 처우 개선을”

이현철 시의원 “최저 임금도 안되는 수당 지급” 주장

광주지역 장애인보호작업장들이 수십억원에 달하는 정부 보조금을 지원받으면서 정작 작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장애인들에게는 최저 임금에도 못 미치는 수당을 지급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25일 광주시의회 제219회 제1차 정례회의 시정 질의에 나선 이현철 의원 <사진> 에 따르면 광주지역에는 참벗보호작업장과 향림작업장, 열미리 보호작업장, 동산식품 등 4곳의 장애인보호 작업장이 있으며 이들 작업장에 적게는 수천만원에서 수십억원에 달하는 기능보강 사업비와 국·도비 보조금이 지원되고 있다.

이 의원은 “올해 4곳의 전체 장애근로자 90명의 월평균 임금은 10만4천320원이며 탄벌동 소재 동산식품은 전체 23명 중 56%의 근로장애인이 1만원을 월급여로 받고 있다”며 “장애근로자 대부분 최저 임금에도 훨씬 못 미치는 급여를 받으며 수년째 근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 의원은 “동산식품은 월 평균 486만여원을 지원받는 등 지난 9년간 4억9천587만원을 지원받아 근로장애인에게는 지원금의 10% 수준인 50여만원을 지급해 왔다”며 “지역 내 장애인보호 작업장에서 근로 중인 장애인들의 장애등급 및 작업성취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이에 따라 최저임금을 가이드로 정해 이를 지킬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시에 촉구했다.

광주=한상훈기자 hsh@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