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빙자료 확인 금액 7천67억원… 공공기관 10개사 제외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정부에 신고한 피해 금액이 1조566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증빙자료를 통해 객관적으로 증명된 금액은 7천67억원이다.
통일부는 개성공단 사태로 인해 피해를 입은 입주기업들을 대상으로 지난 달 2일부터 이달 7일까지 실시한 ‘개성공단 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는 총 신고대상 296개 업체 가운데 234개 업체(입주기업 113개, 미착공 기업 49개, 공사중단 기업 7개, 영업소 65개)가 실태 신고서를 정부에 제출했다.
정부는 다만 한국전력, 수자원공사, 우리은행, 현대아산 등 공공성을 띤 관계기관 10개사는 조사 대상에서 제외했다.
조사 결과 증빙 자료를 통해 확인된 7천67억원 가운데 현지투자액이 3천687억원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원청업체에 대한 납품채무로 인한 피해액이 1천358억원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공단에 남아 있는 원부자재·완제품 미반출로 인한 피해금액은 977억여원에 달했다.
이번 조사에선 국내외 유동적인 경제상황과 각 기업이 처한 각기 다른 환경으로 인해 객관적인 피해금액 산출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미래의 영업손실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와 더불어 이번 조사 결과 입주기업들은 정부에 대해 경협보험 등 금융 분야 지원책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보였다.
전체 조사 대상 기업 중 135개사가 경협보험 확대 적용 또는 남북협력기금 확충 등 특별 금융지원의 확대를 희망했다.
정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참고해 현행 법제도적 안의 범위에서 최대한의 지원을 위해 유관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지원 방안을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