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마지막 회담 제안… 北 묵묵부답

정부, 최종 거부 땐 ‘중대 조치’ 강행 예고

정부가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한 마지막 실무회담을 제안한 가운데 북한은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정부는 6차 실무회담이 결렬된 지 4일 만인 29일 오전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이같은 내용의 전통문을 전달했다.

통일부에 따르면 전통문에는 실무회담 날짜ㆍ장소는 제시하지 않았으며 북한의 조속한 회신을 요구했지만 북한은 전통문 접수 당시부터 이날 오후 4시 판문점 연락채널 마감 통화시까지 뚜렷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통일부 당국자는 “마감 통화에서 북측 연락관이 연장 근무를 요청하거나 회담에 대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고 밝혔다.

정부가 제안한 7차 실무회담의 의제는 기존에 우리 정부가 주장했던 북한의 책임 표명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에 관한 내용으로 알려졌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피해 해결과 공단의 발전적 정상화를 위해서는 북한이 다시는 통행제한이나 근로자 철수 등 일방적 조치를 하지 않겠다는 것을 확실히 보장해야 한다”며 “북한이 남북관계 및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해 올바른 선택을 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인도적 대북지원과 관련해서는 해당 민간단체와의 협의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대북지원 절차를 통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지난 28일 “다시는 정치·군사적 이유로 개성공단의 가동이 중단되지 않고 국제기준에 따라 자유로운 기업 활동을 보장받아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북한이 회담 제의를 최종 거부할 경우 우리 정부는 ‘중대 조치’를 강행할 것으로 관측된다.

송우일기자 swi0906@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