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기업형 자영업자의 비중이 전국 최고 수준에 달하지만 여전히 성장을 제약하는 요소가 많아 보다 실효성있는 대책이 수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30일 한국은행 경기본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도내 자영업 현황과 기업형 자영업자 육성방안’을 주제로 지역경제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세미나는 경기도와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관계자, 학계 등 지역인사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본격적인 토론에 앞서 주동헌 한양대 교수팀은 주제발표를 통해 “도내 기업형 자영업체수와 종사자수 각각 57.4%, 79.7%로 전국서 가장 높고, 경영성과가 좋다”면서도 “자영업자 성장을 제약하는 요소역시 많아 개선점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주 교수팀은 제약요소로 ‘취약계층 지원 중심의 자영업정책’과 ‘금융기관의 보수적 대출관행’ 등을 꼽았으며, ‘생활협동조합ㆍ사회적 기업의 결성유도’, ‘지역 유명 자영업자의 프랜차이즈화 촉진’, ‘공적 품질 인증제도 도입’ 등 13개 정책과제를 제안했다.
이후 조기준 수원대 경제ㆍ금융학과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지정 토론회에는 이부영 경기도경제정책과장, 김군수 경기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정혜숙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팀장이 패널로 참석해 폭넓은 의견이 오가기도 했다.
배재수 한국은행 경기본부장은 “자영업자의 안정적 성장은 고용부진 및 사회양극화 해소와 지역경제 성장 잠재력 확충을 위한 중요한 과제”라며 “이번 세미나가 성장 기틀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