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 유입 차단·재정지원사업 축소’ 악재로 작용
교육부가 지방대학(비수도권) 육성방안을 발표하면서 인천지역 대학의 교육여건 악화현상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교육부는 1일 지역선도대학 육성사업, 기존 지원사업에 지방대 비중 확대, 인재 유치 제도 강화 등을 담은 지방대학 육성방안을 발표했다.
그러나 지방대학의 경쟁력을 키우는 이번 정책이 풍선 효과를 불러와 가뜩이나 어려운 인천지역 대학의 교육여건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는 전망이 일고 있다.
특히 인천지역에 인재 유입을 막고, 재정 지원 사업들이 줄어드는 등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이미 인천지역 대학의 교육여건은 전국에서 최하 수준으로 비수도권 대학보다도 낮게 평가되고 있다.
대학 알리미에 각 대학이 공시한 자료(지난해 기준)에 따르면 재학생 1인당 장학금은 비수도권 120개 대학 평균이 142만 4천 원인 반면, 인천지역 4개 대학 평균은 126만 7천 원으로 경남과 함께 전국 최하 수준이다.
또 기숙사 수용률 역시 비수도권이 21.2%인데 반해 인천은 9.4%로 전국에서 제일 낮게 나타났다.
전임교원 확보율도 인천은 67.7%로 비수도권 75.4%에 한참 못 미치며,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도 인천은 31.6명인데 반해 비수도권은 27.8명으로 차이가 극심하다.
교지 확보율도 지난해 인천 평균이 126.7%인데 반해 비수도권 대학 평균은 229.5%나 된다.
인천지역의 한 대학 관계자는 “지원금과 연구비를 독식하는 일부 서울 소재 대학이 아닌 다음에야 대학 상황은 비슷하다”며 “수도권 규제 정책으로 수도권 대학들이 누리는 장점보다 규제가 더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관계자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분류했을 때 지방 대학의 교육 여건이 더 안 좋다고 판단했다”며 “역차별 정책이 아니라 수도권 대학과 동반 성장할 수 있게 만드는 게 이번 정책의 목표”라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