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지진, 최근 3년 새 54% 증가…더이상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

한반도 지진 횟수가 증가했다.

지난 1978년 기상대 관측 이후 연평균 발생 건수는 1980년대 15.38회에서 2000년대에는 44.9회로 크게 늘었다. 지난 30년간 한반도 연평균 지진 횟수가 3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5일 기상청에 따르면 올들어 지난 4일까지 총 65회의 지진이 관측됐다. 올해 발생 건수 65회는 2010년 한해 발생 건수 42회와 비교해도 54.8% 가량 늘어난 것이다.

지난해 56회, 2011년 52회, 2010년 42회 등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지진 횟수는 올해 들어 7개월간 이미 지난해 수준을 넘어섰다. 이런 추세로 보면 올해 말께에는 지난해의 두 배 이상으로 많은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올해 일어난 지진 총 65회 중 8회를 제외하면 모두 해역에서 발생했다. 이 가운데 서해에서 발생한 지진은 46회에 달해 전체의 70.7%를 차지했으며, 특히 충남 보령, 전북 군산시 어청도, 인천 백령도 해역 등에 집중됐다.

충남 보령 인근 해역에서 11회(16.9%), 전북 군산시 어청도 인근 해역에서 17회(26.1%), 인천 백령도 인근 해역에서 16회(24.6%)로 집계됐다.

지난달 23일부터 이달 4일까지 약 2주 동안 충남 보령 인근 해역에서만 규모 2∼3의 중소 지진이 11회 발생했다.

전북 군산시 어청도 인근 해역에서는 지난 6월5일부터 지난달 15일 사이 규모 2∼3의 중소 지진이 17회 일어났다.

충남 보령 외연도와 전북 군산 어청도 인근인 이 해역은 진앙을 놓고 볼 때 편의상 표기하는 행정구역은 다르다. 하지만 위도·경도 상으로는 거의 유사한 지점이다. 지진이 비슷한 지점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에 발행한 지진은 리히터 규모 2∼3 사이의 중소지진이 대부분이지만 잦은 지진으로 우리나라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한반도 지진 증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