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지사 ‘찾아가는 실·국장회의’서 구상안 전격 공개 1단계 추진단 구성ㆍ2단계 평화공원ㆍ3단계 고성 연결
경기도가 한강 하구~파주~연천~철원~고성을 잇고 북한지역으로 확대하는 ‘DMZ(비무장지대) 세계평화공원’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도는 13일 김문수 경기지사 주재로 파주ㆍ연천지역 DMZ 현장에서 열린 ‘찾아가는 실·국장회의’를 통해 이같은 내용의 ‘DMZ 세계평화공원’ 구상(안)을 공개했다.
구상(안)에 따르면 평화공원은 한강하구∼파주∼연천∼철원∼고성을 연결하는 공원을 우선적으로 조성되지만 점진적으로 민통선~군사분계선의 남쪽지역에서 북쪽지역까지 확대한다.
이를 위해 1단계(준비)로 강원도, 군, 연구기관 등과 함께 추진단을 구성해 지뢰 실태와 사유지 재산권, 생태계 등을 조사한다.
2단계(추진)로 파주시와 연천군이 제시한 곳에 지역별 특성을 살린 평화공원을 조성하고 3단계(중ㆍ장기)로 고성까지 거점을 연결, 벨트를 구성해 지역과 세계가 지속적으로 관리, 발전시킨다.
도는 이를 위해 유럽그린벨트 유관기관, 유럽 해당 지역 정부, 경기도, 강원도, 국제기구, 정부기관, 전문가로 구성된 국제지역협의체 ‘글로컬 커미티’ 구성했다. 이 기구는 중앙정부에 제안 또는 협력방안을 제시하며 관련 예산은 남북협력기금을 우선 활용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이날 파주시는 평화공원 후보지로 민간인출입통제구역인 장단면 동장리를 제안했다. 남방한계선과 북측 사천강 사이에 있는 구릉지대 1.5㎢이다. 탐방로 조성과 평화 상징물 설치 등이 포함됐다. 또 평화공원과 장단반도 사이에 배후도시를 건설, 국제기구 협력사무소를 유치하고 컨벤션센터와 외국인 주거 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연천군은 임진강을 매개로 한 수자원관리와 물을 테마로 한 거점으로 민간인출입통제구역인 중면 횡산리 일대를 제안했다. 태풍전망대 앞 임진강 유역의 지리적 특성상 남북 공유지역 수자원을 함께 이용할 수 있어 평화공원으로 적합하다는 것이다.
이곳에 국제수자원 기구 등을 유치하고 임진강 공동관리위원회를 설치하는 한편, 연천평야를 활용한 평화농장을 계획했다.
김문수 지사는 “독일 그뤼네스 반트의 사례가 보여주듯 DMZ는 보전과 활용을 통해 역사, 안보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국제적 관광거점으로 육성 가능성이 충분하다”며 “DMZ가 갖는 세계평화의 상징성과 생태 관광적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학기자 chkim@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