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은행-저축銀 경영위험 파악’ 감시체계 돌입

금융당국이 은행과 저축은행의 경영위험을 조기에 파악하기 위해 밀착 감시에 들어간다. 현장검사와 상시검사 간의 협업체계도 구축하고 상시감시지표도 개발한다.

금융감독원은 이 같은 내용의 ‘은행ㆍ저축은행에 대한 상시감시업무 혁신방안’을 마련해 곧바로 시행에 들어간다고 14일 밝혔다.

조영제 금감원 부원장은 “저축은행 부실 등 금융불안 요인을 사전에 파악해 적기 대응하지 못해 자산 부실화와 소비자 피해를 초래했다”며 “금융회사의 리스크 요인을 조기에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상시감시업무 체계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현장밀착형 상시감시채널이 구축된다. 검사원이 금융회사를 직접 수시로 방문해 자금조달과 운용현황 등을 즉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조 부원장은 “미국의 상주검사역제도를 벤치마킹한 것”이라면서도 “다만 은행에 검사원이 상주하는 미국과 달리 필요시에 직접 정보를 수집해 수검부담을 줄일 것”이라고 말했다.

중점상시감시보고서 제도를 신설돼 검사원은 주기적으로 보고해야 한다. 부실우려 등 이상징후가 있는 경우 해당 검사국에 현장검사나 정밀분석을 요청할 수 있다. 아울러 검사국의 전 검사역이 상시감시요원화된다. 또 상시감시지표를 개발해 계량화된 시스템을 만들고 거시감독국이 조기경보시스템을 운영키로 했다.

박광수기자 ksthink@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