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제개편 교수 자리만들기 급급 논란 벌써 망각?
공무원ㆍ학사직 ‘직급 통합’… 정원 재조정 추진
4ㆍ5ㆍ6ㆍ7급은 크게 늘고 8·9급은 41명이나 줄어
국립대 출범 직후 첫 조직 개편에서 교수의 보직만 늘려 논란을 빚은 인천대학교(본보 2월 15일 자 1면)가 후속조치로 구성원 통합을 위한 직원인사규정을 제정하면서 40여 개 직급을 상향 조정해 ‘승진 잔치’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21일 인천대 등에 따르면 안정적인 조직체계를 만들고자 현재 인천시 공무원 140명과 학사직 114명 등의 구성원 직급과 직렬 등을 하나의 교직원으로 통합을 추진 중이다.
인천대는 특별법에 따라 공무원·학사직 모두 교직원이 된 만큼 현재 6처 2본부 직제를 감안해 직급별 정원을 재조정키로 하고 공무원노동조합·학사직노동조합 등과 협의 중이다.
그러나 이 같은 직급별 정원 재조정이 직원들의 승진자리만 무더기로 늘려주는 셈이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인천대는 4급 이상을 5% 이내, 5급은 14% 이내, 6급은 35% 이내, 7급은 34% 이내, 8·9급은 12% 이상으로 개편할 예정이다. 이대로 직원인사규정이 제정되면 4급은 현재 5명에서 9명으로, 5급은 15명에서 26명으로, 6급은 53명에서 65명으로, 7급은 49명에서 63명으로 각각 늘어나는 반면 8·9급은 41명이 줄어든다.
특히 승진하는 직원이 늘어나면 당연히 인천대의 인건비 부담도 가중된다. 이 때문에 국비 확보 등 중요 현안은 해결하지 못해 빚을 내 학교를 운영하는 인천대가 직원들의 승진 잔치만 벌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게다가 공무원노조 일부에선 ‘승진자리가 늘어나더라도 공무원은 배제된 채 사실상 학사직의 승진자리만 늘려주게 될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 최소한 3~5년 유예기간 등을 두고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3월 조직개편 이후 5개월이 넘도록 직원인사규정에 대한 의견을 모으지 못하면서 공무원노조와 학사직노조 간 갈등도 점점 깊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인천대 관계자는 “아직 확정된 직원인사규정(안)은 아니다. 직원들의 의견을 더 모아 보완하는 절차를 거쳐야 한다”면서 “이달 중 확정해 다음 달까지 교수협의회와 이사회 의결 절차를 밟는 등 빨리 마무리해 직원 간 갈등을 봉합하겠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