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적 교육이 올바른 역사 인식을 정립할 수 없다는 비판도 있지만, 한국사를 등한히했던 국민의 관심을 환기시키는 계기가 될 것 만은 분명해 보인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나라의 가리워진 근대사 인물을 조명한 책이 나와 눈길을 끈다.
‘나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 이마사코입니다’(지식공작소 刊)가 그것이다. 열여섯 살 때 한일간 정략결혼의 희생자가 된 이마사코의 회고록이다.
그녀는 고종 황제의 세 번째 왕자 영왕(영친왕) 이은의 동반자로, 도서명 그대로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태자비다. 대한제국의 몰락과 함께 열한 살 때 일본에 볼모로 끌려간 영왕과 함께 두 조국의 갈등에 따라 황족에서 평민으로 전락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그녀는 이 책에서 결혼을 둘러싼 일본 군부 권력 투쟁의 내막, 첫 아들 진의 의문의 죽음, 가까이서 본 덕혜 옹주, 하루 아침에 평민으로 내팽겨져 빚더미에 오른 사연, 이승만 전 대통령의 환국 거부 등을 담담하게 써내려갔다.
그 드라마틱함에 마치 소설같은 비운의 한 여인의 삶을 들여보는듯하지만, 실은 이제껏 제대로 드러나지 않았떤 한국 근대사의 속살이다. 조선 왕가의 최후, 그 단면이다. 우리 민족 수난사이자 대한제국 황실 역사에 대한 직접적 증언이기도 하다.
1984년 한 일간지에 연재된 ‘세월이여 왕조여’를 기본으로 황손 이구가 비극적 죽음을 맞이한 2005년까지 조선 황실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했다. 이를 위해 조선왕실 가계도, 당시 양국 궁궐 지도, 이방자 연표 등을 담았다. 값 1만3천500원
류설아기자 rsa119@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