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부평구가 퇴출 위기에 몰린 부평구 시설관리공단의 경영 개선책을 내놓았지만, 인적 쇄신 등 주요 대책이 빠져 있어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구는 최근 안전행정부가 발표한 2012년 경영실적 평가에서 공단의 경영실적이 저조하게 나옴에 따라 10일 경영 합리화 대책을 발표했다.
공단은 2011년 ‘라’ 등급을 받은 데 이어 2012년 평가에선 최하인 ‘마’ 등급을 받았으며, 내년에도 ‘마’ 등급을 받으면 청산 절차를 밟게 된다.
이에 따라 구는 이달부터 청렴·윤리·안전 프로그램 개발, 직원 역량 강화 및 부패 방지 교육훈련제도 도입 등 경영 개선책을 추진한다.
그러나 구의 개선책에 조직 개편과 인적 쇄신 등 주요 대책이 빠져 있어 실효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또 이번 평가에서 사업 수지가 22%나 떨어진 것으로 지적받고서도 기존 수익사업 개선이나 신규 수익사업 개발 대책도 없다.
특히 이번 개선책이 공단 노조의 동의 및 사전협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발표돼 직원들의 공감대를 얻지 못한 것도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김성권 공단 노조위원장은 “관리 감독 책임이 있는 구청이나 공단 임원은 가만히 있고 문제 책임을 노조나 직원에게 몰아가는 것은 부당하다”며 “구는 매년 공단 경영 개선을 외치지만 이대로라면 무엇이 달라질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구 관계자는 “지적된 안전관리 및 노사관리 분야를 중심으로 개발한 과제를 실천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 경영실적 평가에도 대처하고 실질적인 개선을 가져올 과제를 찾아 위기상황을 극복하겠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