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이후 휴대전화 및 이메일 스팸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지만 대량 문자발송 서비스인 C2P 사업자에서 발생하는 스팸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이경재)와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이기주, 이하 KISA)은 휴대전화 문자스팸 및 이메일 스팸의 발송·수신 경로를 제공하고 있는 주요 사업자의 2013년 상반기 스팸 유통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올 상반기 휴대전화 문자스팸의 주요 발송 서비스는 C2P(전체 스팸량의 35.9%)로, C2P 사업자 중 KT(전체 스팸량의 30.1%)의 스팸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메일 스팸의 경우 LG U+(전체 스팸량의 55.0%)에서 발생하는 스팸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스팸발송 서비스로는 대량 문자발송 서비스(C2P : 35.9%, BIZ-SMS : 27.5%), 이통사 홈페이지의 개인 웹메시징 서비스(14.6%), 이통사 휴대전화(13.9%) 순으로 나타났다.
C2P는 KT(30.1%), LG U+(5.8%) 순으로, BIZ-SMS는 LG U+(12.9%), KT(7.3%) 순으로 스팸량이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통사 홈페이지에서 문자를 발송하는 개인 웹메시징 서비스에서는 LG U+가 전체 스팸량의 14.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나, 2월 대량의 스팸을 발송한 사업자와의 계약을 해지하는 등 자정노력을 강화한 결과 3월 이후 스팸 발송량은 급격히 감소(1월 41만4천건→6월 3천건)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휴대전화를 통한 스팸 발송량은 LG U+(6.8%)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자발송 비용이 사실상 무료화 됨에 따라 지난해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1인당 1일 평균 문자스팸 수신량을 측정한 결과, 평균 0.23통(지난해 상반기 0.24통→지난해 하반기 0.22통→올 상반기 0.23통)을 수신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각 이통사 무료 부가서비스인 지능형 스팸차단 서비스의 차단율은 전반적으로 낮아 차단율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함께 이메일 스팸이 발송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자(ISP)의 경우 LG U+(55.0%), SK브로드밴드(10.5%)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 1인당 1일 평균 이메일 스팸 수신량을 측정한 결과, 평균 0.51통(지난해 상반기 1.64통→지난해 하반기 1.40통→올 상반기 0.51통)으로, 다음 0.68통, 네이버 0.38통, 네이트 0.35통을 수신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량 문자발송 사업자들은 스팸에 주로 사용되는 단어가 포함된 문자를 필터링하는 등의 자정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일부 사업자는 스팸으로 발생하는 매출을 포기하지 못해 스팸발송을 방조하거나, 적극적인 차단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는 점이 스팸 증가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메일의 경우, 포털 사업자의 지속적인 스팸 필터링 기술 개발, ISP 사업자의 스팸발송 IP 차단 등 스팸감축을 위한 자정노력을 강화한 것이 스팸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방통위 관계자는 “악성스패머에 대한 정보를 이통사간 공유토록 해 스팸발송을 목적으로 한 서비스 가입(명의도용 등)을 방지하고 스팸 발신자의 서비스 이용제한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KISA 관계자는 “스팸차단에 필요한 스팸정보(광고URL, 스팸발신IP 등)를 사업자에 실시간 제공해 차단토록 하고, 이통사 및 포털사업자의 스팸필터링 수준을 높이는 등 스팸차단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