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경기침체와 STX, 동양 등 대기업의 연쇄적 도산으로 올해 100여개가 넘는 중소기업이 구조조정 대상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절정에 달했던 지난 2010년 이후 3년 만에 최대규모다.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채권은행들은 금융권에 진 빚이 50억 원 이상 500억 원 미만인 중소기업 가운데 부실 가능성이 있는 1천100여개 업체를 골라 신용위험평가 등 세부평가를 하고 있다. 지난해 채권단은 97개 중소기업을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했는데 C등급이 45개사, D등급이 52개사였다.
올해는 구조조정 대상이 100여개사 이상이 C~D 등급으로 분류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부평가에서 C등급을 받으면 채권단과 협의해 기업재무구조개선(워크아웃)을 추진하고 D등급을 받으면 자체 정상화를 도모하거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해야 한다.
감독 당국이 채권단의 평가와 달리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면 중소기업 구조조정 대상은 2010년 수준을 뛰어넘을 수도 있다.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 중소기업은 2010년 121개, 2011년 77개, 2012년 97개였다.
부실 중소기업이 늘어난 이유는 분야를 막론하고 전반적인 업황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 지난해 말부터 대기업 그룹사가 쓰러지면서 중소 협력업체들이 어려움에 처한 것도 한 몫 했다. 시공능력 순위 13위였던 쌍용건설이 올해 2월 워크아웃을 신청하며 휘청이자 1천400여곳에 이르는 중소 협력업체들의 줄도산이 우려됐다. 지난해 말 극동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했을 때, 올 초 STX그룹 계열사들이 쓰러졌을 때도 마찬가지였다.
이처럼 중소기업의 위험성이 가시화되자 금융당국은 중소기업 대출 면책 강화와 신용평가 제도 개선 등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기로 했다. 중소기업 대출 관련 면책 제도를 확대하고 벤처·창업 기업 육성을 위해 신용평가 시 기술력, 성장 가능성을 반영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또 시중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현황을 수시로 점검하고 대출 확대 등도 지속적으로 요청할 방침이다.
중소기업이 새로 대출하거나 기존 대출을 연장하면 대기업과 차별하지 않는 수준의 금리를 적용하도록 한 것도 은행권 현장에서 제대로 지켜지는지 점검할 예정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최수현 금감원장이 중소기업 현장을 둘러보고 애로사항을 청취한 이후 일부 지원책을 시행하고 있다”면서 “중소기업 대출 면책 제도 확대 등 종합 대책을 발표해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