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 청소대행업체 ‘권리금 장사’ 등 부작용 속출

공개입찰로 전환 목소리↑ 市 “2015년부터 변경 검토”

과천시 청소대행업체가 동별로 배정된 청소구역을 자신 소유의 자산으로 생각해 구역별로 수억원의 권리금을 받고 매매가 이뤄지는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과천시 청소대행업체의 나눠먹기식 관행을 없애고, 합리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기존의 수의계약 방식에서 공개입찰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등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10일 시와 청소대행업체 등에 따르면 시는 매년 16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개운환경과 현대환경, 대정위생, 신영개발, 과천산업, 정계환경 등 6개 업체에 쓰레기 수거 등 청소대행사업을 위탁하고 있다. 여기에 시는 청소대행업체에 쓰레기 수거차량과 압축차량 등 18대의 장비를 무료로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청소대행업체의 구역 규모와 예산지원이 2억원에서 4억원까지 큰 차이가 나 청소대행 업체간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6개 업체 중 과천산업은 문원동과 과천동 2개 동을 담당하면서 4억8천만원의 위탁금을 받고 있으며, 대정위생은 별양동 구역을 맡으면서 3억5천만원의 위탁금을 받고 있다.

반면, 개운개발과 현대환경은 신영개발은 중앙동과 갈현동, 부림동을 각각 담당하면서 2억2천만원에서 2억7천만원의 위탁금을 받고 있으며 정계환경은 담당구역과 위탁금도 없이 일반업체의 쓰레기만 수거하는 등 비합리적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특히, 지난 2003년과 2005년에는 청소대행업체가 담당구역을 넘기는 조건으로 위탁금의 2∼3배 넘는 권리금까지 받고 매매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업체간의 갈등은 더욱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청소업체의 나눠먹기식 관행을 없애기 위해서는 기존의 수의계약을 폐지하고 과천시 전체면적을 2∼3 구역으로 나눠 공개입찰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청소업체 관계자는 “과천시 지역 내 청소대행업체가 지속적으로 나눠먹기식 운영을 하면 청소업체는 공멸의 위기에 처할 것”이라며 “현재 도로 노면청소와 살수차량, 음식물 쓰레기통 세척 등은 공개입찰로 전환했기 때문에 청소대행 용역도 수의계약에서 공개입찰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청소대행업체의 나눠먹기식 운영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있다”며 “오는 2015년부터 계약방식을 바꾸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과천=김형표기자 hpkim@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