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포저’ 사용 이대로 좋은가] (完) 대안은?
디스포저가 점차 생활 속으로 파고들고 있으나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설령 생활의 편익을 위해 이를 사용한다 할 지라도 미래환경을 위해 수질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갖춘 후 허용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배적인 진단이다.
지난해 10월 환경부는 음식물찌꺼기 기준 하수구 배출 20% 미만 디스포저 제품을 허용하고, 지난 5월에는 주방용 오물분쇄기 일부 허용방안과 관련 정책토론회를 개최해 ‘100% 배출 디스포저’ 허용 조건을 명시, 디스포저 도입이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에 시민단체 등 각계각층에서는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우선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는 노력이 선행되야 하고 아직 기반시설이 완벽히 갖춰져 있지 않은 가운데 성급하게 도입하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환경부, 작년 일부제품 허용… 가정집 대중화 앞당겨져
도입전 음식물 배출량 줄이기 노력 기반시설 확충해야
이경률 환경실천연합회 회장은 “디스포저가 도입된다면 음식물쓰레기에 관련한 여러가지 주민 불편이 완화되는 등 긍정적인 측면이 있어 앞으로 가정집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본격 도입을 하기 전 부작용을 막기 위한 하수관거와 하수처리시설에 대한 정비가 필요하고, 정부에서는 확실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보다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려 도입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의 취지에 쓰레기를 하수구로 버리는 디스포저는 부합하지 않는다면서, 근본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이석길 한국음식물류폐기물자원화협회 실장은 “비료, 퇴비 등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를 하수구에 그냥 버리는 것은 자원 낭비”라면서 “종량제 도입에 맞춰 디스포저 도입보다는 음식물쓰레기를 원천적으로 줄이려는 노력이 선행돼야 하고, 그래도 버려지는 쓰레기는 적극적으로 재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김미화 자원순환사회연대 사무총장도 “특정 지역에서만 사용 가능한 디스포저 도입은 형평성 시비가 일 수 있다”면서 “일부 주민의 편의만을 위해 디스포저를 도입하기보다는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낮추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디스포저 도입과 관련, 아직 확정된 것은 없다”면서 “디스포저 시범사업 실시결과와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신중하게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관주기자 leekj5@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