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개 업체 3개월 뒤 9%대 고금리 속수무책 ‘錢錢긍긍’ 남북경색 바이어도 ‘뚝’ 이중고… 조건없는 지원 촉구
개성공단 가동 중단으로 지급됐던 남북경협보험금 반납기한을 넘긴 도내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이중고를 겪고 있다. 잇단 남북관계 경색국면으로 경영 정상화는 쉽지 않고, 경협보험금을 완납할 여력이 없는데도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이자를 감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17일 한국 수출입은행에 따르면 경기지역 개성공단 입주기업 33개사 중 18개 업체가 총 362억원의 경협 보험금을 받았다. 그러나 이 중 경협보험금 반납 기한인 지난 15일까지 보험금을 반납한 업체는 2곳, 58억원에 그쳤다.
나머지 16개 업체들은 보험금을 반납하지 못했다. 문제는 경협보험금 미납에 따른 연체 이자다. 반납기한 내에 보험금을 내지 못할 경우 30일 이내 연 3%, 60일 이내 연 6%, 90일 이상 연 9%의 연체금을 내야한다. 이미 보험금을 납부하지 못한 16개 업체에게 3%의 이자가 부과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도내 입주기업인들은 가뜩이나 경영 정상화가 어려운 상황에서 살인적인 고금리에 시달려야 한다며 개성공단 정상화로 한껏 들떴던 기대감이 한 달만에 절망감으로 바뀌고 있다고 하소연 했다.
속옷 등 의류생산업체인 A사(고양시 일산동구)는 35억원의 경협보험금을 반납해야 하지만 당분간 완납은 꿈도 꿀 수 없다. 개성공단 투자 시 대출받았던 상환자금, 직원들 급여, 회사 비용 등 개성공단 중단사태 시 유동성 위기에 대체사용했기 때문이다. A사가 경협보험금을 3개월이상 연체할 시 내야 하는 이자는 3억5천만원에 달한다.
A사 대표는 “공단 가동률도 70%에 불과한데 남북관계가 냉랭해지면서 바이어들이 물량을 줄여 당장 다음달부터 생산량이 50%로 떨어진다”며 “여기에 보험금까지 상환하라니 첩첩산중이라는 말밖에 안나온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입주기업인들의 보험금 반납 부담이 가시화되자 정부는 이날 은행 신용대출, 중소기업 정책자금 등을 통해 보험금을 낼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지만 이마저도 ‘생색내기’에 그칠 우려가 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경우 대부분 담보가 은행 등에 묶여있고 경영악화로 신용이 좋지 않아 사실상 대출받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입주기업인들은 보험금을 반납할 수 있도록 정부가 조건없는 대출 지원이나 개성공단 투자분을 담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반도체 부품 생산업체인 입주기업 B사(안양시 만안구) 대표 유모씨는 “앞서 정부가 개성공단 가동 중단시 입주기업들의 경영 자금을 은행권 등을 통해 지원했지만, 담보능력과 신용평가에서 밀려 대출을 받지 못한 경우가 허다했다”며 “신용도 등에 관계없이 저리로 대출을 받아 보험금을 반납할 수 있도록 지원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jjy84@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