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판없는 경기… 매너가 생명
골프는 다른 스포츠와 달리 심판이 따로 없다. 경기위원은 단지 플레이어의 문제 제기가 있을 때 룰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역할과 원활한 플레이어의 경기진행에 도움을 주는 일을 맡고 있다. 선수는 양심에 따라 스스로 심판의 역할을 하고 때로는 갤러리나 TV를 보는 시청자들에 의해 판정이 내려지기도 한다.
형평성 논란으로까지 이어지기도 하는 룰 위반 판정. 아마추어 골퍼에겐 ‘양심 불량’으로 끝나지만 프로선수에겐 ‘돈과 명예’을 잃는 경우가 많다.
미국이나 유럽 여러국가에서는 프로자격을 받는 기준이 먼저 골프경기 규칙(룰) 교육을 통과하지 못하면 자격을 받을 수 없도록 되어있어 골프의 발전과 함께 경기규칙을 준수하고 있다. 독자 여러분도 골프규칙집을 골프백에 넣어 다니면서 문제가 되는 상황을 슬기롭게 처리하는 매너를 만들어가길 바란다.
▲골프규칙 위반 사례
웹 심슨(미국)은 지난 2009년 밥호프클래식에서 강풍으로 볼이 저절로 움직이는 바람에 벌타를 받아 생애 첫 승 기회를 날렸다. 2011년 취리히클래식에서도 비슷한 상황으로 또다시 우승문턱에서 좌절했다. 논란이 일자 영국왕립골프협회(R & A)는 규칙을 개정해 지난해부터 바람에 의해 볼이 움직이면 벌타를 받지 않도록 했다.
또 이안 폴터(잉글랜드)는 2010년 12월 열린 유럽프로골프투어 두바이 월드챔피언십 연장전에서 ‘볼을 마크 위에 떨어뜨리는 바람에 마크가 뒤집히면서 공이 움직였다’며 자진 신고했다. 1벌타를 부과받은 폴터는 결국 로베르토 카르손(스웨덴)에게 우승컵을 헌납했다.
시청자 제보로 인해 실격을 당한 경우도 종종 있다.
2011년 1월 열린 PGA 투어 현대 토너먼트 오브 챔피언스 대회 도중 카밀로 비예가스(콜롬비아)는 그린을 향해 어프로치 샷을 한 후 디봇을 정리하고 있었지만 애석하게도 볼은 원래 자리로 굴러 내려왔고, 비예가스는 다시 그린에 올린 후 마무리를 하고 홀을 벗어났다. 다음날 비예가스는 시청자 제보로 실격판정을 받았다. ‘볼이 움직이고 있을 때는 그 진로를 방해할 만한 사물을 이동하지 말아야 한다’는 규정을 위반한 것이다.
한편, 파드리그 해링턴(아일랜드)은 ‘비양심 골퍼’로 낙인 찍혔다. 2011년 1월 유럽프로골프투어 아부다비 챔피언십 1라운드 종료 후 메이저대회를 세 번이나 제패한 해링턴이 실격됐다. 사유는 골프 룰 6조 6항 위반, 즉 ‘스코어카드 오기’ 때문이었다. 해링턴은 마크를 집어올리려다 볼을 살짝 건드렸다. 규정은 1벌타를 받고 원래 위치로 볼을 옮긴 후 퍼팅하면 되지만 해링턴은 이동된 상태에서 퍼팅을 했고, 2퍼트 후 스코어카드에 파를 적어냈다. 2벌타를 받아야 하는 명백한 상황. 이 또한 시청자 제보로 위반 사실이 들어나 실격이 됐다.
‘골프황제’ 타이거 우즈(미국)도 룰 위반에서 자유롭지 않다. 지난 4월 마스터스에서의 사건(?)은 ‘타이거 룰’이라며 비난받았다. 논란이 된 홀은 2라운드 15번홀(파5). 87야드를 남기고 친 세 번째 샷이 깃대를 맞고 그린 아래 워터 해저드에 빠지자 우즈는 원래 친 위치에서 2야드 뒤로 물러나서 다섯 번째 샷을 했다. 문제 없다고 판단한 우즈는 보기로 기재하고 스코어카드를 제출했다. ‘마지막으로 플레이한 지점에서 되도록 가까운 곳에서 플레이해야 한다’는 워터 해저드에 관한 골프규칙에 따라 2벌타가 주어져야 하고, 스코어카드 오기로 실격판정을 받는 게 상식이지만 경기위원회는 2벌타 판정을 하고 상황을 종료했다.
아마추어 골퍼들도 골프룰에 대해 어려워 하지말고 경기규칙집을 읽어보면 쉽게 접근 할 수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