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쓰가무시병 주의보…늦가을 풀밭에 옷 벗어두지 마세요

쓰쓰가무시병 주의보가 내려졌다.

쓰쓰가무시병은 쓰쓰가무시균(Orientia tsutsugamushi)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으로, 발병 위치는 전신이 될 수 있으며 진드기의 유충이 피를 빨아먹은 자리에 딱지나 궤양이 생기는 특징이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2008~2012년)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해 '티푸스열(A75, typhus fever)'에 대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은 쓰쓰가무시병으로 밝혀졌다.

진료인원은 2008년 약 2만1천명에서 2012년 약 2만3천명으로 매년 연평균 2만311명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쓰쓰가무시병은 1~2주의 잠복기 후 증상이 나타나며, 반상 모양의 발진이 손바닥, 발바닥, 얼굴을 제외한 전신에 걸쳐 퍼져나간다. 또 감염자에게는 구토와 설사 증상이 동반 될 수 있다.

증상이 심할 경우 의식장애, 헛소리, 환각 등 중추신경에 관련된 이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대부분 임상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만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받는다면 1~2일 후 열이 내리고 상태가 빠르게 호전되는 편이다.

쓰쓰가무시병에 감염된 환자의 경우 사람에서 사람으로 직접 감염되지는 않으므로 환자를 격리시킬 필요는 없다.

쓰쓰가무시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야외활동 시 풀밭 위에 옷을 벗거나 눕지 말고, 되도록 긴 옷을 착용하며 귀가 후에 즉시 목욕하고, 옷을 세탁하는 등 청결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쓰쓰가무시병 주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