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공공기관의 청렴도가 하위권이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지난 19일 발표한 전국 653개의 공공기관의 종합청렴도 조사결과에 나타난 불명예다. 국제도시라는 위상이 부끄러운 노릇이다. 청렴도(1 ~ 5등급)에서 중간 등급 순위인 3등급을 받았다. 17개 특ㆍ광역시 가운데 9위다. 지난해 7위(3등급)보다 더 떨어졌다.
청렴도는 국민권익위원회가 매년 각 기관의 주요 대민ㆍ대관업무를 경험한 민원인(16만 5천191명)과 기관 소속 직원(5만 6천284명), 학계ㆍ시민단체, 주민, 학부모 등 정책고객(1만 8천5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얻은 결과물이다. 하위권의 평가점수를 받으면 청렴 컨설팅, 반부패경쟁력평가 등을 확대실시해 비난의 대상이 된다.
예컨대 인천지역 기초자치단체 중에서는 중구가 5등급이다. 지난해 2등급을 받았으나 올해는 5등급으로 급락했다. 남동구는 4등급, 남구ㆍ동구ㆍ서구는 3등급이다. 연수구와 계양ㆍ부평구가 2등급을 받아 체면은 유지했으나 1등급을 받은 기관은 하나도 없다.
인천시교육청도 체면을 구겼다. 4등급으로 17개 시ㆍ도교육청 가운데 15위다. 꼴찌와 진배 없다. 최근 나근형 교육감을 비롯한 고위직 간부가 뇌물 수수 등 인사비리에 연루돼 재판을 받고 있기 때문일 터이다. 지방공단(27개)은 인천서구시설관리공단이 2등급, 인천시설관리공단이 3등급을 받아 선전한 편이다.
그런데 종합청렴도와는 별개로 안전행정부가 169개 지방공기업의 연봉을 전수조사한 결과, 청렴도와 관련된 문제점이 또 드러났다. 안전행정부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노근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직원 1인당 평균 연봉 상위 10위권에 인천환경공단, 인천도시공사, 인천교통공사의 이름이 올랐다. 공동 5위의 환경공단과 도시공사는 전년 대비 23.9%, 교통공사는 19.1% 인상됐다. 이들 기관이 적자ㆍ빚더미에 주저 앉아 허덕거리는 상황을 감안할 때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도시공사의 경우 지난해 결산결과 부채가 무려 7조 9천272억 원이다. 한 해 이자로 무는 돈만 828억 원이나 된다. 교통공사는 지난해 당기순손실이 1천609억 원에 달하고 전체수입 중 인건비가 645억 원, 40%나 차지했다. 환경공단은 기관장 연봉이 전체 지방공기업 중 12번째로 높지만 경영 결과 평가는 ‘다’ 등급이다. 고객만족도 역시 63.62로 낙제점에 가깝다.
지방공기업의 경영난이 심각한 게 어제 오늘 일이 아닌데도 고액 연봉을 수차례나 올리는 것은 심히 부적절한 일이다. 공공의 이익을 올려야 할 공기업이 자신의 잇속만 챙기는 일은 공직청렴 확립 차원에서 제재가 있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