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지방이전 농진청 땅 친환경 자족시설 들어선다

7개 기관 부지 198만㎡ 규모 농업박물관ㆍ지역 특화단지화

수원에서 지방으로 이전하는 농촌진흥청 등 7개 기관 부지(198만㎡)가 농업테마박물관과 지역별 테마형 주거단지 및 친환경적인 자족시설용지로 활용된다.

국토교통부는 ‘혁신도시특별법’에 따라 지난 2년간 수원시 등 지자체와 국토연구원, 한국농어촌공사와 협의와 조정과정을 거쳐 활용계획안을 마련하고 최근 수도권정비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확정됐다고 30일 밝혔다.

농진청(국립원예특작과학원ㆍ국립농업과학원ㆍ국립식량과학원ㆍ축산과학원)은 전북혁신도시(전주)로 농림축산검역본부와 국립종자원은 경북혁신도시(김천)로 오는 2015년까지 이전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공공기관지방이전계획에 따른 농진청 등 7개 기관의 이전재원을 마련하면서 동시에 수도권 지역의 삶의 질도 균형 있게 충족할 수 있는 계획을 마련하는데 역점을 뒀다.

수원지역 종전부동산은 여러곳으로 분산돼 위치해 있어 인접한 부지를 군집화해 6개 지구로 구분하되, 개발단계에서 여건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통합적으로 계획지표를 적용했다.

또한 전체 개발면적의 35%를 공원·녹지, 도로 등 기반시설로 계획해 공공성을 확보했으며, 대상부지가 기존 시가지와 인접해 있음을 감안해 인구밀도 200인/ha(계획인구 약 3만인)의 중밀도로 주변 산업단지 등의 배후 생활편익시설 및 주거용지를 반영했다.

특히 수원시는 농진청(서둔동) 일원이 정조시대부터 농업 발전의 메카였던 점을 감안해 역사ㆍ문화적 상징성을 보전하고자 국립농어업박물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어 해당 부지(10.2만㎡)를 공원으로 반영했다.

국토연구원은 농진청 등 이전부지가 대규모여서 도심공동화 방지를 위한 테마형 정주공간 조성이 계획대로 추진될 경우 약 2만3천여 명의 고용 창출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앞으로 해당 지자체인 수원시는 활용계획을 도시관리계획에 반영하게 되고, 한국농어촌공사가 국토부·수원시와 협력해 농진청 등 해당기관의 지방이전시기(2015년 예정)에 맞춰 실수요자에게 매각하거나 개발사업 등을 통해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구예리기자 yell@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