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투고] 정전협정 60주년을 보내며

2013년 7월27일은 정전협정이 이루어진 지 60주년 되는 날이었다.

정전협정은 간단히 말하자면 1953년 7월27일 연합군사령관과 북중 사령관 사이에 한국전쟁 중지를 알리는 협정이고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으며 전쟁이 끝난 종전이 아니고 전쟁 중단의 휴전 협정이다.

특히 2013년은 그 협정이 60주년이 되는 해로 여러 가지 행사가 열렸다. 국가보훈처에서도 6·25 참전 감사행사에 참석하는 각 나라 대표와 참전용사들을 대상으로 참전국 평화콘서트, 국무총리 주최 감사 만찬, 부산 유엔묘지 참배 등의 행사 등이 진행되어 그 의미를 더했다.

정전협정으로 군사분계선(DMZ)이 설치 되고 UN군과 북한군 장교가 군사위원회 및 중립국 감시위원단이 설치되어 휴전기간에 발생할 수 있는 충돌상황에 대비하고 있지만 협정이후로도 여러 크고, 작은 충돌이 계속해서 이어졌고 지금도 작은 충돌에도 긴장이 높아지는 것이 현실이다. 말 그대로 서로가 적대행위를 일시적으로 중지한다는 협정이고 휴전상태가 계속 이이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북한은 정전협정 60주년인 올해 한·미 훈련에 반발해 정전협정 백지화를 주장하는 등 끊임없이 우리나라를 자극하고 긴장감을 높이고 있지만 우리는 사실 안보 불감증이라는 말에 반박 할 수 없을 만큼 전쟁에 대해 무딘 생각을 하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든다.

연평도에 포탄이 날아들고, 천안함이 가라 앉고, 정전협정의 백지화 주장이 있었음에도 말이다.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에 사는 국민으로서 한번쯤은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는 것이 국민의 최소한의 도리가 아닌가를 생각해봐야 한다.

북한의 정전협정 백지화가 그들의 체제 안정이 목표라지만 정전협정 백지화는 최악의 경우 전쟁 개시를 의미하는 것 뿐아니라 북한의 궁극적 목표는 적화 통일이 아닌가를 생각해볼 때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안보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이야말로 북한으로 하여 금 감히 오판할 수 없게 만드는 대한민국의 큰 힘이 될 것이다.

최정인 인천보훈지청 보훈과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