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지검 ‘가천길재단’ 수사 확대 주시한다

인천 길병원 공사비 횡령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의 칼날이 전방위로 움직이고 있다. 길병원 등의 모(母)법인격인 가천길재단이 그동안 벌인 각종 공사에서도 유사한 비리가 없지 않았는지 수사 범위를 확대하고 있어 그 결과가 주목된다.

인천지검 특수부(신호철 부장검사)는 구랍 30일 하청업체로부터 수십억원을 받은 혐의로 대우건설 건축사업본부장 A씨(53) 등 간부직원 3명을 체포 조사하고 있다. 또 이날 오전 서울의 대우건설 본사 A씨의 사무실을 비롯해 임직원 3명의 자택과 승용차 등에 대한 압수 수색을 벌여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회계자료 등을 확보, 분석 작업을 벌이고 있다.

대우건설은 가천길재단이 설립한 BRC(주)가 송도국제도시에 공사 중인 첨단의료·바이오 연구단지(BRC) 조성사업의 원청업체다. 검찰에 따르면 대우건설 A씨는 인천 송도총괄개발사업단에 근무하던 지난 2011년께 BRC(주)가 발주한 송도 신도시 내 첨단의료·바이오 단지 조성 공사와 관련, 하청업체인 G종합건설 대표 B씨(49·구속)로부터 20억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B씨가 조성한 비자금 30억원의 사용처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A씨 등에게 돈을 건넸다는 진술을 확보했다. A씨는 이와 별건으로 김효석 전 인천시 비서실장(구속 기소)에게 구월 보금자리주택(현 구월 아시아드 선수촌) SCI블록 공사 입찰과 관련, 5억원을 건넨 혐의로 지난 10월 서울북부지검에 의해 기소된 상태다.

A씨는 인천에서 대우건설 건축사업본부장으로 5년 이상 장기 근무하면서 각종 사업을 따내기 위해 인천자유구역청 및 시 본청 고위급 공무원들과 친분을 쌓아온 인물이다. 검찰은 B씨를 통해 A씨 등에 건네진 돈 일부가 공사 인허가와 사업상 편의를 제공받기 위해 공무원들에게 뿌려졌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

검찰은 당시 대우건설이 수주한 몇몇 사업이 추진 과정에서 당초 승인 내용과 상당 부분 다르게 변경돼 특혜의혹이 파다했지만 흐지부지됐음을 주시해야 한다. 검찰은 이미 길병원 공사비 횡령사건 수사에서 병원 측이 공사비를 부풀린 뒤 하청업체로부터 되돌려 받아 비자금 수십억원을 조성한 혐의로 병원 간부 2명을 구속한 바 있다.

따라서 검찰은 이번 수사에서 가천길재단 등도 이런 수법으로 비자금을 조성하지 않았는지 밝혀내야 한다. 또 B씨의 돈이 A씨를 통해 가천길재단 등에 유입됐는지 여부도 철저히 가려내야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