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7개 공공기관 지방이전 부지 활용계획 최종 확정
이전할 공공기관은 농진청과 산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국립축산과학원,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식량과학원,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종자원 등이며 부지면적은 198만㎡에 달한다.
이중 35%는 공원·녹지·도로 등 기반시설로 활용되고 나머지는 주거단지, 생활편익시설, 친환경자족시설용지 등으로 개발된다.
특히 농진청 부지(28만6천㎡)의 경우 한국농업발전의 메카였던 점을 고려해 4천여억원을 들여 국립농어업문화전시체험관과 공원 등을 조성하고 나머지 부지에는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연수원, 농생명R&D단지 등을 유치한다.
체험관에는 농어업역사관, 농어업생태관, 세계농어업관, 미래농어업관, 식품·식생활관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시와 농식품부는 2015년 체험관 건립공사에 착공, 2017년 건물을 준공한 뒤 전시자료 수집 등을 거쳐 2018년 개관한다는 계획에 따라 지난해 7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국립농어업체험관이 들어서면 2천377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5천68명의 고용유발효과를 거둘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국립축산과학원, 국립종자원 등은 인구밀도 ㏊당 200명 이하의 중밀도 생활편익시설, 주거용지 중심으로 개발된다.
국립식량과학원 일대는 권선행정타운과 연계한 중심상업 거점으로 활용된다.
시는 공공기관 이전부지 활용계획이 확정됨에 따라 향후 도시관리계획에 반영하고 부지 매입주체인 한국농어촌공사가 해당기관의 이전시기에 맞춰 실수요자에게 매각하거나 개발사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협의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농어업역사전시문화체험관 건립, 첨단 R&D 단지 조성 등을 통해 서수원권 주민들의 균형발전 기대감이 피부로 와 닿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방이전 공공기관 가운데 농촌진흥청과 원예특작과학원, 농업과학원, 식량과학원, 축산과학원은 전북혁신도시(전주)로, 농림축산검역본부와 국립종자원은 경북혁신도시(김천)로 각각 내년말까지 이전한다. 박수철기자 scp@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