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공항公, 지역 건설사 홀대하지 말라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대립적 개념이 아니다. 경제주체의 일원으로 상호보완적이고 그 협업관계가 원만해질 때 그 나라 산업체질은 튼튼해진다. 이처럼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과 동반 성장에 대해 이론의 여지없이 누구나 공감하고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재발주한 6천억원대의 제2여객터미널 외장 및 골조공사 컨소시엄에 지역 중소업체의 참여가 완전 배제됐다.

공항공사에 따르면 제2여객터미널 외장 및 골조공사 입찰 참가자격 사전심사(PQ)에 삼성물산·한진중공업·현대건설 등 3개 대형 건설사가 각각 컨소시엄을 구성, 시행계획서를 제출했다. 공항공사는 현장 설명회를 거쳐 다음 달 입찰을 통해 시공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삼성물산 컨소시엄은 대우건설·롯데건설·삼성에버랜드·대우조선해양으로 이뤄졌으며, 한진중공업 컨소시엄은 대림산업·GS건설·포스코건설·한양으로,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금호산업·현대산업개발·진흥기업·신흥건설과 각각 팀을 꾸렸다.

그러나 3개 컨소시엄에 참여한 지역 업체는 중견기업으로 대우조선해양(지분10%)·한양(8%)·신흥건설(5%) 등이 각 컨소시엄에 분산됐다. 참여 지분도 10%대 미만인데다 중소기업은 아예 없는 상태다. 공항공사가 공사 발주 때 지역 중소업체 참여 가점을 4점만 배정한데다 지역 업체를 참여시키지 않아도 평가 점수의 94%를 받을 수 있도록 했기 때문이다.

공항공사의 이 같은 지역 업체 홀대 때문에 막상 인천에서 수천억원대의 공사가 발주되는데도 타 지역에서 주소를 옮겨온 일부 중견기업만 참여할 뿐 역내 토종 중소업체에겐 그림의 떡일 뿐이다. 같은 공기업인 인천항만공사가 지난해 발주한 국제여객부두 축조공사에 지역 업체 참여율을 20% 이상으로 강제, 지역 업체 수주율이 73%에 달한 것과 대조적이다.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이 지역의무 공동 도급제를 도입한 것은 지역 중소건설업체의 보호 육성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것이다. 우리나라 전체 고용의 88%를 담당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이 활발하게 움직여야 고용이 증대되고 중산·서민층의 생활이 안정될 수 있다.

물론 지역 중소업체들도 정부와 대기업의 지원만 바랄 게 아니라 대형 공사 컨소시엄에 참여할 수 있게 스스로 기술력을 갖추도록 자생력을 키워야 한다. 아울러 지역 기업의 의무 공동 도급 참여 비율을 일정 수준으로 높이고 강제함으로써 실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련법도 보완해야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