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대] 조선일보·한겨레신문

김종구 논설실장 kimjg@ekgib.com
기자페이지

조선일보가 6일 공천 폐지와 관련된 사설을 내보냈다. 제목이 ‘구청장 직선하고 區 의회만 없애면 비리 더 커질 것’이다. 전날 새누리당이 밝힌 지방자치 개선안에 대한 사측 입장이다. 기초의회를 없앤다는 구상을 지적했다. “더 심각한 게 기초단체장들의 자질과 비리 문제다. 직선 구청장은 자기 지역을 소(小)왕국으로 만들곤 한다”고도 밝혔다. “교육감 비리 문제의 근본 원인은 공천 여부가 아니라 직선제에 있다”며 도지사-교육감 러닝메이트제의 문제점도 지적했다. 그런데 정작 중요한 공천 폐지에 대한 입장은 빠져 있다. ▶한겨레 신문은 8일자에 관련 사설을 내보냈다. 제목이 ‘새누리당, 기초선거 공천폐지 여부 빨

리 결론 내라’다. 도입부분이 “이달 말로 예정된 활동 시한 안에 결론을 내릴 수 있을지 회의적인 시각이 적지 않다”다. 결론날 가능성이 없다는 부정적 예상이 깔려 있다. 새누리당의 구상을 “문제는 현시점에서 전면적인 지방자치제도 개편은 실현 가능성도 없는데다 주장 자체도 매우 어처구니없다는 점이다”라며 비판했다. 역시 공천 폐지를 찬성하는지 반대하는지에 대한 입장은 밝히지 않았다. ▶조선일보는 보수를, 한겨레 신문은 진보를 대표한다. 같은 현안을 두고도 극과 극의 논조를 보일 때가 많다. 물론 대부분의 경우에 분명하고도 확고한 사시(社是)를 내보였다. 그런 지면을 보면서 보수는 보수대로, 진보는 진보대로 후련함을 느꼈다. 그런데 정당 공천 문제에 대해서만은 두 신문 모두 이제와 다른 모습이다. 정당 공천 폐지가 옳다는 것인지 그르다는 것인지 아무리 봐도 알 수 없다. ▶정당 공천 폐지를 바라는 국민 여론은 일방적이다. 경기일보도 이런 지역민의 여론에 충실히 쫓아가고 있다.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강원도의 주요 언론도 한목소리다.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에게도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할 현안이다. 지금처럼 찬성도 반대도 아닌 애매한 중간지대를 고집하면 안 된다. 안 그래도 중앙 언론을 또 다른 중앙 권력의 축이라고 보는 지방의 시각이 많다. 얼마 남지 않은 논의의 시한, 조선일보와 한겨레 신문이 ‘그들다운’ 모습을 보이길 기대한다. 그리고 그 모습의 방향이 국민 60~70%의 바램과 맞아들어가기를 바란다.

김종구 논설실장/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이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