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시 이러고도 친환경 AG 치를 수 있나

인천시의 친환경 아시안게임 구호가 무색하다. 2014 인천 아시안게임 개·폐회식이 개최될 서구지역에 유해 환경배출 업체가 집중돼 있어 과연 인천시가 지향하는 ‘그린 대회’가 실현될지 의심스럽다. 특히 마라톤 등 육상경기가 열릴 주경기장 인근에 악취발생 사업장이 밀집돼 ‘청정 대회’의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인천시 서구청 조사에 따르면 지역 내 유해 환경사업장은 2천603개소에 달한다. 이 중 유독가스 등 대기오염·악취발생 사업장이 2천209곳으로 가장 많고 날림먼지 발생 사업장 262곳·유독물 취급 등록 사업장 132곳 등이다. 특히 아시안게임 주경기장과 불과 1~2㎞ 떨어진 서부산업단지는 악취발생 단지 오명에도 불구하고 속수무책이다.

서부산업단지 300여 주물공장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바람을 타고 인천공항고속도로 북인천IC까지 퍼지고 있다. 이 때문에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한 외국 관광객들에게 인천을 악취의 도시로 첫 인상을 심어 주는 악명 높은 곳이다. 그래서 주경기장을 출발해 아라뱃길을 돌아오는 마라톤 코스가 확정될 경우 선수들은 서부산업단지에서 내뿜는 악취와 오염된 공기를 들이 마시며 뛰어야 한다.

기록경기인 마라톤 선수들에겐 최악의 여건으로 이 때문에 대회를 망쳤다는 비판을 받을 수도 있다. 이런 국제적 망신을 당하게 되면 유엔 녹색기후기금(GCF)사무국 소재 도시로서 세계녹색 심장을 자부해온 인천시로선 그 명예가 크게 손상될 수밖에 없다. 이러고도 인천시가 앞으로 어떻게 세계 환경수도로서의 위상을 굳히게 될지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

근본대책이 필요하다. 서구청은 24시간 악취 민원 콜센터를 운영하고 새벽 등 취약시간대 순찰강화 등 단속에 나서고 있지만 행정 제재가 뒤따르지 않으면 단속은 하나마나다. 공기오염·악취 등 공해는 배출원의 사전 차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위반업체는 가동중단 조치 등 강력한 행정 제재가 있어야 한다.

아시안게임 조직위가 지난 달 마련한 저탄소 친환경 대회 계획도 마찬가지다. 조직위는 아시안게임 중 발생할 이산화탄소를 13만톤으로 예측, 여러 탄소감축 대책을 내놨다. 그러나 성공의 관건은 실효를 낼 확실한 실행뿐이다. 아시안게임은 개최 도시인 인천을 전 아시아에 알려 국제적인 이미지를 새롭게 높일 기회다. 환경도시의 브랜드를 널리 알리고 인천의 국제경쟁력을 몇 단계 높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100% 활용해야 한다. 관계당국의 주도면밀한 준비와 빈틈없는 점검이 필요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