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안심 서비스’ 기사·승객들 ‘불만 서비스’

인천시, 안전한 귀가 위해 콜택시 5천여대 대상 실시 NFC 인식 오류 불편 호소

인천시가 ‘걱정 없는 택시’를 외치며 도입한 ‘NFC 택시 안심서비스’가 오히려 승객과 기사에게 불편을 주고 있다.

시는 지난달 1일부터 인천콜 택시 5천400여 대에 스마트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용한 택시 안심서비스를 시행 중이라고 19일 밝혔다.

조수석 뒷면에 부착된 NFC 태그에 스마트폰을 갖다대면 모바일 앱이 실행돼 차량번호, 차량 위치 등 승·하차 정보를 지인에게 문자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정작 이용 당사자인 기사와 승객들은 서비스 이용에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NFC 태그에 스마트폰을 대면 곧바로 ‘인천시 택시 안심서비스’ 모바일 앱이 실행돼야 하지만, 실제 NFC 태그 인식률은 절반에도 못 미친다.

또 태그 인식 시간이 들쭉날쭉하다. 1~2초 만에 앱이 실행되는가 하면 10여 초 이상 걸리는 경우도 상당수여서 승객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특히 이용 안내도 부실하다. NFC 태그나 안심서비스를 처음 이용하는 승객들은 NFC 기능 활성화, 모바일 앱 설치 등 별도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데 택시 내 안내문에는 서비스의 핵심인 ‘인천시 택시 안심서비스’ 모바일 앱 설치 안내가 빠져 있다.

택시기사들도 사전교육을 받지 못해 승객이 이용 방법을 물어봐도 알려주지 못하고 쩔쩔매기 일쑤다.

일부 기사는 아예 시트 커버 등으로 태그와 안내문을 가려놓고 승객들이 이용하지 못하게 막는 경우도 있다.

택시기사 A씨(60)는 “회사에서 설치한 거지 난 작동법은 배우지 않아 모른다”며 “바코드처럼 딱 찍히는 것으로 알았는데 생각보다 인식도 안 되고 불편해서 거추장스럽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택시기사를 상대로 교육을 시행해 이용 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라며 “인식률이 낮은 부분은 제조업체와 정부에 문의해 개선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