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째 표류하고 있는 인천 루원시티 개발 사업이 정치 쟁점화 되고 있다.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학재 의원(새누리·인천서구 강화갑)이 최근 기자회견을 열고 루원시티 사업의 부진을 비판하면서다. 이 의원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인천시장 출마에 뜻을 둔 것으로 알려졌다.
루원시티 개발계획은 인천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공동시행자로 서구 가정동 일대 97만2천㎡부지에 아파트 1만1천291가구를 짓는 한편 지상 1층·지하 4층의 대형 입체복합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지난 2006년 사업지구로 지정돼 당초 계획으론 지난해 말 이미 완공됐어야 했다. 그러나 건물·토지 보상만 했을 뿐 사업이 중단된 상태다.
이 의원은 루원시티 사업의 부진은 시가 루원시티의 전제인 경인고속도로 지하화를 포기했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이 의원은 또 인천시가 루원시티 상권 유도시설(앵커시설)부지 3만3천㎡를 무상·저가 공급해 앵커시설을 유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허종식 인천시 대변인은 경인고속도로 지하화 포기는 지난 2006년 안상수 전 시장 때라며 송영길 시장은 이를 서류상 정리만 했을 뿐이라고 반박했다.
또 이 의원의 일부 부지 무상·저가 공급안도 그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일부 부지만 무상·저가 공급하면 주변 부지의 조성원가 매각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는 주장이다. 이 문제는 공동시행자인 LH와 협의해야 하는데 이도 쉽지 않다는 것이다. 물론 지역출신 국회의원이 지역 현안에 관심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이번 이 의원의 루원시티 비판은 지방선거를 의식한 정치 쟁점화라는 것이 일반적 시각이다.
루원시티 사업이 좌초된 것은 당시 시가 개발지 공급가격 등을 세밀하게 따져보지 않은 채 무작정 사업에 뛰어들었기 때문이다. 2000년대 중반 부동산 경기가 일시 반짝했을 때 욕심을 부린 것이다. 그러나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닥친 부동산 경기 침체가 결정적인 좌초의 원인이 됐다. 게다가 개발지 조성원가도 턱없이 높다. 3.3㎡당 2천210만원으로 송도(194만원),영종(365만원),청라(407만원)보다 5~10배가량 비싸 사업의 최대 걸림돌이 되고 있다.
지금까지 이 사업에 쓴 돈은 보상비 등 1조7천억원으로 하루 이자만도 2억4천만원에 달한다. 사업을 계속하려면 또 1조2천억원을 투입해야 한다. LH는 이대로 사업을 추진하면 1조5천억원의 손실을 예상하고 있다. 진퇴양난이다. 따라서 시는 LH와 개발계획을 백지화할지, 아니면 현실적으로 개발 가능한 지구부터 규모를 축소해 개발할지 원점에서 면밀하게 재검토해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