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는 낭설?”
영국에서 남성과 여성의 뇌의 차이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나중에 ‘만들어지는 것’이란 주장이 나왔다.
영국 텔레그래프는 8일(현지시각) 버밍엄 소재 아스톤대학교의 뇌과학자 지나 리펀 교수가 세계 여성의 날 관련 행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고 전했다.
이 자리에서 리펀 교수는 남녀의 뇌 구조 차이는 사회의 성에 대한 고정관념이 서서히 주입되며 사후적으로 생성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여성의 뇌는 남성보다 사교나 다중작업에 뛰어난 반면, 남성은 인지능력 등이 더 낫다는 그간의 뇌과학 연구 결과와 배치되는 내용이다.
리펀 교수는 “여자의 뇌가 멀티태스킹에 능하게 조직되는 것은 사회가 여자아이에게 멀티태스킹을 잘하길 기대해 여자아이가 관련 뇌 부위를 많이 쓰기 때문”이라며 “뼈 구조를 보고 성별을 판단하듯 (어린 아이의) 뇌를 집어들고 ‘이건 남자, 이건 여자’라고 구분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관주기자 leekj5@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