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천, 투표율 꼴찌 오명 이젠 벗어야 한다

인천시선거관리위원회가 64 지방선거 투표율 제고에 고심하고 있다. 선거일이 85일 남았고, 아직 후보등록도 하지 않은 상황에서 시 선관위가 투표율을 지레 걱정하는 것은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인천지역이 2000년 이후 지방선거는 물론 역대 다른 선거에서도 투표율이 전국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투표율 꼴찌라는 오명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2000년 이후 2012년 4월 치러진 총선까지 모두 9차례 선거에서 인천지역 평균 투표율은 51.7%로 전국 평균 56.7%보다 크게 떨어졌다. 지방선거로는 지난 2002년 39.4%로 전국서 밑바닥, 2006년 역시 44.3%로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다. 2010년엔 50.9%로 수치가 약간 늘었지만 전국 평균 54.5%에 미치지 못해 16개 시·도 중 13위에 그쳤다.

2012년 대통령 선거에서도 인천은 전국 평균 75.8%를 밑도는 74.0%를 기록, 14위로 밀렸다. 같은 해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에선 51.4%로 전국 평균 54.2%에 미치지 못해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다. 2008년 총선에서도 42.5%로 전국 15위에 그치는 등 바닥권을 면치 못했다. 역대 모든 선거에서 인천시 투표율 순위가 16개 시·도 중 13~16위를 오르내리며 하위 수준을 맴돌아 세계선거기관협의회(A-WEB) 소재 도시의 체면을 구기고 있다.

시 선관위는 지난 지방선거에서 보인 인천지역 투표율 50.9%가 이번엔 10% 상승한 60%대가 될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이번 새로 도입된 사전투표제(5월30~31일)와 고용주의 유권자 투표권행사 보장 강화책이 효과를 내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인천지역만의 조치가 아니라 전국적으로 투표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전국 각 지역의 일률적 상승이 기대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 선관위는 이와는 별도로 인천지역이 안고 있는 투표율 저조 요인을 치유하는 특유의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64 지방선거에서 유권자의 관심을 떨어뜨릴 만한 이유는 많다. 단체장들의 독선과 공약이행 부진, 그리고 때 이른 예비후보들의 무분별한 상대 헐뜯기, 기초선거 정당 공천제 고수와 폐지 갈등, 느닷없는 새정치연합과 민주당의 통합 등으로 선거와 정치에 대한 유권자들의 혐오가 깊어졌다. 투표율의 현저한 하락은 민주주의의 위기를 초래한다.

이런 사태를 막으려면 우선 정당과 후보자들이 달라져야 한다. 유권자들도 생각을 고쳐야 한다. 인천시민의 자존으로 선거풍토를 바로잡고, 유능한 일꾼을 뽑기 위해서라도 투표에 많이 참여해야 한다. 그래야 지방자치가 발전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