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나 고령자, 무직자, 자살·자해 등을 통한 보험 사기가 크게 늘면서 지난해 보험 사기액이 5천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보험사기 적발 규모는 5천190억원으로 전년의 4천533억원보다 14.5% 늘었다. 2011년에는 4천236억원이었다.
지난해 자동차 보험 사기는 2천821억원으로 전년보다 3.1% 증가하는 데 그쳤으나 생명보험(보장성)과 장기 손해보험은 각각 25.2%와 40.1% 급증했다.
음주·무면허·운전자 바꿔치기(1천218억원)와 사고 내용 조작(867억원)이 큰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자해, 살인, 상해 등 보험금을 목적으로 고의 사고를 내는 강력 범죄 적발액도 1천25억원으로 전년보다 26.8% 늘었다.
자살·자해 보험 사기는 2012년 356억원에서 지난해 517억원, 살인·상해는 79억원에서 98억원으로 급증했다.
보험 사기액 중 보험사가 적발한 금액은 전체의 78%인 4천52억원에 달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생명보험의 보장성 보험과 장기 손해보험을 이용한 고액 사기 비중이 커졌으며 살인, 상해, 자해 등 강력 범죄를 수반하는 보험 사기도 늘었다”고 말했다.
이지현기자 jhlee@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