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악화 시중銀, 일제히 대출 가산금리 ‘UP’

주택대출 1년전比 최고 0.63%p↑ 신용낮은 서민층 인상부담 더 커

시중은행들이 예대금리차 축소로 인한 수익 감소를 만회하기 위해 대출 가산 금리를 일제히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시중은행들의 가산금리 인상은 주로 소득이 낮고 신용등급이 낮은 서민층을 중심으로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최근 1년 간 주택담보대출(분할상환 방식)의 가산금리를 최고 0.63%p 인상했다. 은행별로는 외국계 은행인 한국 SC은행과 한국 씨티은행이 1년전에 비해 가산금리를 각각 0.33%p, 0.32%p 올린 것으로 나타나 가장 높은 인상폭을 기록했다.

또 KB국민은행(0.19%p) 신한은행(0.06%p), 우리은행 (0.03%p) 등 국내 은행들도 일제히 가산금리를 올렸으며, 광주은행(0.63%p)과 대구은행(0.13%p), 부산은행(0.11%p) 등 지방은행들도 가산 금리 인상 움직임에 동참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이들 시중은행들은 주로 소득이 낮고 신용등급이 낮은 서민층 위주로 가산금리를 인상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은행연합회가 집계한 신용등급별 가산금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저신용층인 7~10등급의 가산 금리 인상폭은 최고 2.32%p에 달했지만, 고소득층이 주로 분포한 1~3등급의 가산금리 인상폭은 최고 0.33%p에 불과했다. 특히 담보가 없는 개인신용대출의 경우, 전북은행의 저신용층 가산금리가 무려 9.89%p에 달하는 등 주택담보 대출에 비해 가산 금리 인상폭이 훨씬 더 컸다.

이처럼 대다수 시중은행들이 가산 금리를 인상한 것은 저금리 기조의 장기화로 주요 수입원인 순이자마진(NIM)이 크게 떨어지면서 수익성이 크게 악화됐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에 맞추려고 우대금리를 줄이다 보니 가산금리가 높아진 측면이 있다”고 해명했다.

박민수기자 kiryang@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