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패 우려 새정치민주연합 ‘고집’대신 ‘고민’ 중

진보단체, 후보 단일화 모색
새정치민주연합 무공천 고수 너도나도 출마 표 분산 우려 기초선거 참패 위기 공감대

새정치민주연합이 기초선거 공천 폐지 입장을 고수하면서 기존 민주당 측 후보와 새정치연합 측 후보가 6ㆍ4 지방선거에 동시에 출마하는 후보 난립이 예상, 진보성향 시민단체 등을 중심으로 범야권 후보 단일화를 해야한다는 논의가 일고 있다.

이는 기초선거 무공천으로 내천도 못하는데다 이렇다할 해법을 찾지 못해 당안팎에서 참패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창당공동준비위원장은 25일 “아무리 어렵더라도 약속을 지키는 것이 국민에게 인정받는 것”이라며 기초공천 폐지 계획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확고히 했다.

하지만 지역정가에서는 안 위원장이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기초선거 공천 폐지에 대해 이처럼 기존 입장을 유지하겠다고 재확인하면서 진보성향 표의 분산으로 공멸할 수 있다는 위기감이 조성되고 있다.

실제 이날까지 새정치연합 발기인에 참여했던 인사가 선관위에 도내 기초단체장 예비후보로 등록한 곳은 수원ㆍ양주ㆍ안산ㆍ오산ㆍ화성ㆍ파주 등 6곳이다. 이중 양주를 제외한 지역은 모두 현역 단체장이 민주당 소속이다.

이들 지역 외에도 성남, 부천, 평택 등 상당수 지역에서도 새정치연합 측 인사의 단체장 출마가 예상되면서 민주당 현역단체장의 연임 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다.

이밖에 새정치연합의 다른 13명의 발기인도 도내 곳곳에서 이미 기초의원 예비후보 등록을 마치면서 같은 야권 후보간의 경쟁이 불가피한 상황에 직면했다.

이로 인해 기존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의 결합이 이번 지방선거에서 시너지효과보다는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두드러지면서 진보성향 시민단체들이 후보 단일화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시민단체들은 기존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하나의 정당으로 결합했음에도 지방선거 기초선거 무공천으로 인해 풀뿌리민주주의의 근간이 되는 기초단체와 기초의회가 여당으로만 치우칠 경우 자칫 편향된 정책이 이뤄질 수 있다며 균형감있는 지방자치제도를 위해서는 무공천에도 야권 후보 단일화는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수원지역 일부 시민사회단체는 26일 이같은 논의를 위해 협의를 벌일 예정이다.

한 진보성향 시민단체 관계자는 “새정치연합의 무공천으로 인해 새누리당이 지방의회에서 모두 당선될 경우 도민들의 삶의 질이 얼마나 높아질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들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같은 점을 상쇄하기 위해 수원, 고양, 부천 등 지역에서 시민사회 단체를 중심으로 ‘시민후보’를 배출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진욱기자 panic82@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