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수원에 BTㆍNT집약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 조성

수원시가 지역 내 낙후지역인 서수원에 BT, NT 등 기술집약 산업을 육성하는 30만㎡ 규모의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를 조성키로 했다.

특히 시는 사이언스 파크 조성으로 1만6천200여개의 일자리 창출과 연간 1조6천330억원의 경제유발 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1일 브리핑을 통해 “서수원에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를 조성, 미래성장동력 산업을 집중 배치함으로 진정한 의미의 동서 균형발전이 완성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이언스 파크 부지는 권선구 입북동, 구운동 일대 35만2천㎡ 시가화 예정용지로 지난달 7일 경기개발연구원에 ‘서수원권 R&D 단지조성 도시개발사업 타당성 용역’을 의뢰했다.

시는 개발 대상 지역 토지를 시가 직접 매수해 개발하는 공영개발 방식의 도시개발사업으로 추진해 개발이 완료된 토지를 첨단 기술집약 기업에 연구 용지로 분양한다는 계획이다.

사이언스파크는 연구개발(R&D)시설과 교육연구센터, 지원센터 등의 고부가 연구와 개발시설로 집중화하고 근린생활시설과 주거시설, 상업시설을 배치해 단지 안에서 자족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예정이다.

우선 시는 사이언스파크 대상 부지를 30만㎡ 규모로 계획하고 타당성 용역을 의뢰했으나 향후 성장여건을 감안, 100만㎡까지 확대해 성남, 판교, 동탄, 안산을 잇는 수도권 첨단산업 클러스터의 핵심으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시는 올해 타당성 용역과 함께 국토교통부와 사전협의서를 작성하고 내년 도시개발구역 지정과 개발계획 수립 용역을 마친 뒤 2015년 사업에 착수, 2019년 완료한다는 구상이다.

개발 사업비는 시비 1천500억원과 복합개발자로 선정된 민간의 자본 1조500억원 등 모두 1조2천억원 규모로 시는 개발이 완료되면 1만6천400개의 일자리와 연간 1조6천330억원의 경제효과, 5천900억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염태영 시장은 “세계 경제는 고급인력 확보를 통한 기술집약산업으로 재편되고 있다”며 “서수원에 첨단기술이 집약된 제조업과 서비스산업을 육성시켜 지역과 국가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 시발점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수원에는 서둔동 농업연수원(3만1천㎡), 오목천동 축산과학원(22만3천㎡) 부지가 주거용지로 공급되고 탑동 국립원예특작과학원(8만7천㎡), 권선행정타운 배후단지(6만1천㎡)가 중심상업용지로 지정되는 등 공공기관 이전부지가 사이언스파크와 함께 도시개발의 시너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수철기자 scp@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