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 무공천 재검토
새정치민주연합이 기초선거 정당 공천 폐지에 대한 최종 결정을 9일 당원 투표와 여론조사를 통해 당원과 국민의 뜻을 한 번 더 묻기로 했다.
지금처럼 ‘무공천 방침’이 유지되면 새누리당은 ‘공천’, 새정치연합은 ‘무공천’이라는 두 개의 룰에 따라 지방선거를 치르게 된다. 반면에 공천하기로 최종결정이 번복되면 한 선거에서 두 개의 룰이 적용되는 선거사상 최악의 상황은 면하게 된다.
따라서 오는 10일 최종 결정되는 새정치연합의 기초선거 정당공천 결과에 따라 정치권의 최대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 기초선거 공천 유·무 어떻게 결정되나
이제 관심은 당원 투표와 여론조사의 합산 결과에 모아진다. 현재로선 무공천 철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점쳐진다. 권리당원 투표는 지방선거 출마 예정자를 중심으로 무공천 철회 입장을 대거 쏟아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여론조사에서는 일반 국민의 민심이 ‘새정치의 약속 지키기’에 얼마나 쏠린 것인지가 관건이다.
새정치연합 여론조사공천관리위는 9일 하루 동안 당원투표와 여론조사를 동시에 진행하기로 했으며, 10일 양쪽 결과를 50%씩 반영해 최종 결론을 발표하기로 했다.
당원투표는 지난 1년간 1회 이상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을 대상으로 3~5회 전화를 걸어 의견을 묻기로 했다.
여론조사는 2개 외부 기관에 의뢰해 기관당 지역, 성별, 연령별로 인구비례에 따라 1천명씩을 할당 추출, 모두 2천명을 대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자동응답시스템(ARS)을 활용해 가구전화와 휴대전화를 50%씩 섞기로 했다.
무공천 철회 가능성 높지만
“공천통해 정당정치 살려야”
“묵묵히 약속 지키면 될 일”
당내 의견 여전히 갈려
■ 지도부·강경파 세 대결 양상
새정치연합 지도부의 결정에 당내를 포함한 여야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김기준 의원은 “앞뒤로 꽉 막혀서 어떻게든 돌파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기본적으로 약속을 지킨다는 틀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투표를 통한 결과대로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당원 투표만 하면 너무 뻔한 결과가 나올 테니 국민 여론조사를 반반으로 하는 것이 옳다”고 덧붙였다.
정세균 상임고문은 성명을 통해 “정당공천을 통해 정당정치를 살리고 박근혜 정권의 독선과 독주를 견제해주기를 호소한다”고 말했다.
반면 조경태 최고위원은 “국민을 믿고 묵묵히 약속을 지켜나가면 될 일인데 선거를 치르기도 전에 벌써부터 전패론, 책임론 운운하는 것은 상당히 잘못된 것”이라며 공천 폐지 약속을 지켜 달라고 요구했다.
강해인ㆍ정진욱기자 hik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