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 당락 좌지우지… 영향력 커진 여론조사
경선 과정서 비중 확대
후보들 인지도 높이기 치중
정책선거 사라지나 우려
6ㆍ4 지방선거가 5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공천을 위한 경선 과정에서 여론조사 비중이 확대되면서 ‘여론조사 만능주의’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9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여야 예비후보 경선 과정에서 여론조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비정상적으로 커져 정당정치 및 정책대결의 상실 등이 우려되고 있다.
새누리당의 경우 일부 지역의 기초단체장 후보를 100% 여론조사 방식으로 선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며 새정치민주연합 역시 광역단체장 후보 결정을 위한 경선안에 여론조사를 포함했다.
이에 따라 이번 지방선거 경선에서는 과거보다 여론조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과거 컷오프 과정에서 일종의 ‘참고용’으로 활용되던 여론조사가 공천의 당락을 최종적으로 확정 지을 수 있는 강력한 평가기준으로 떠오른 셈이다.
이런 가운데 지역 정가에서는 여론조사의 비중 확대가 정당의 존립 의미를 손상할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정치결사체의 의사결정 과정을 국민의 여론에 의지하겠다는 것은 책임정치를 훼손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지방선거가 정책대결의 장이 아닌 ‘인기 끌기’의 장으로 변질할 수 있다는 비판도 나오는 실정이다.
도내 기초자치단체장에 출마한 A 예비후보는 “여론조사의 비중이 높아지다 보니 언론 플레이를 통해 대중적 인지도를 높이는 활동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면서 “이 때문에 예비후보들이 이름만 근사하고 내용은 똑같은 공약들을 남발하는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또 지역의 여론조사 과정에서 대세론이나 동정론이 나타날 경우 특정 예비후보에 대한 지지율 쏠림 현상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박상철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는 “투표율이 낮은 지방선거의 경우 경쟁력 있는 후보를 추려낸다는 측면에서 여론조사가 위력을 발휘할 수 있다”면서도 “다만 제대로 된 공약이 없는 엉뚱한 후보를 당선시킬 수 있고 참신한 정치 신인의 진입을 방해할 수 있는 만큼 적절한 분배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송우일기자 swi0906@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