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고사성어에 부회뇌동이라는 말이 있다. 예기(禮記)의 곡례편(曲禮編) 상에 나오는 말로서 자기 생각이나 주장 없이 남의 의견에 동조한다는 말로 해석할 수 있겠다. 매년 되풀이 되는 주택화재는 언론의 선정적인 보도와 단편적 일부분에 초점을 둔 여론몰이식 사건으로 다뤄지는 모양새다.
이렇다 보니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으로 핵심에서 벗어나 주변에서 곁가지만 요란하게 울리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앞으로 주택화재는 계속 반복적으로 발생이 예상된다.
2013년 전국 화재 통계를 분석해보면 총 4만932건이 발생했다. 이중 주택화재 관련 화재 발생건수는 1만596건으로 전체의 26%를 차지하고 있다. 이 통계에서 보듯 주택화재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현행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소방법) 제8조에는 “주택의 소유자는 소방시설 중 소화기 및 단독경보형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한다”라고 법으로 규정, 의무화하고 있다. 소화기는 세대별, 층별로 비치해야 하고 단독경보형감지기는 구획된 실마다 설치해야 한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소방시설을 주택 등에 설치를 의무화해 시행하고 있으며, 피해를 줄였다는 보고가 있다.
소화기는 예기치 못한 초기 화재 상황에 닥쳤을 때 우리 가족의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는 소화기구이다. 또한 단독경보형감지기는 잠자고 있는 등의 화재 발생을 인지하지 못했을 때 열이나 연기를 감지해 화재 발생을 소리로 알려주어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소방법을 통해 소방시설을 의무적 설치로 강제하고 있지만, 강제의 유무를 떠나 안전의식을 습관화 하고 관심을 가져 우리 집을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지킬 수 있도록 소방시설을 갖추고 있는지 지금 확인해보자.
김성섭 과천소방서 소방행정과 소방령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