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에 ‘안전’ 화두로… ‘선거 프레임’ 변화 조짐

‘근조 모드’ 속 ‘재난사고 예방·안전 정책’ 대결 관측

세월호 침몰사고로 ‘안전’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집중되면서 오는 6ㆍ4 지방선거에서 국민 안전과 관련된 정책이 화두로 떠오를 전망이다.

특히 애도의 분위기가 확산, 이번 지방선거가 조용하게 치러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책 선거의 계기가 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24일 현재 여야는 이번 사고의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당초 계획된 TV토론회나 합동연설회 등 지방선거 관련 일정을 잠정 중단한 상황이다.

다수 출마자들은 근조 모드가 지방선거 후보 등록일인 다음달 15일까지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 민심의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또 지방선거 하루 전날인 6월3일이 첫 희생자의 49재인 만큼 선거 당일까지 국가적인 애도 분위기가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세월호 침몰사고의 수습이 다소 이뤄지고 본격적인 선거운동 기간에 접어든다 하더라도 후보자들이 흥겨운 로고송이나 확성기 등을 통한 전면적인 유세전을 펼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이처럼 대대적인 유세가 어려운 상황에서 결국은 정책을 통한 지지 호소가 선거 승패를 가름할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세월호 침몰사고가 최근까지 정국을 달궜던 공기업 개혁, 통일 대박론, 규제 완화 등의 이슈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면서 정치권이 안전 정책을 최우선으로 내세울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실제 여야는 이번 사고가 발생하자 정부의 사고 대응 방식에 비판의 목소리를 내면서 안전과 관련된 법안을 논의하고 있다.

야당의 경우 그동안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 고공현상에 가로막혀 탄력을 받지 못했던 정부심판론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 안전 정책을 내세울 것으로 관측된다.

반면 여당은 정부의 미숙한 대응을 비판, 새로운 안전 정책을 제시하며 정공법을 택할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안전 정책이 지방선거 쟁점으로 부상할 경우 정부에 대한 비판 여론이 사그라지지 않으면서 새누리당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박상철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는 “정부의 수습에 문제점이 드러난 가운데 여야 모두 국민의 지탄을 피하기 위해 안전 정책을 가장 우선적으로 제시할 것”이라고 진단하며 “애도의 분위기 속에서 자신을 피력할 수 있는 방법이 정책인 만큼 이번 지방선거가 선거 풍토를 바꿀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송우일기자 swi0906@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