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공천’ 때문에… 與도 野도 ‘여성후보 모시기’ 진땀

새누리, 화성갑 등 8곳 공천신청자 ‘0명’… 추가 공모로 급한불 꺼
출발 늦은 새정치도 수원병ㆍ평택을 등 4곳 달해… 품귀 현상에 부작용 우려

여야가 오는 6ㆍ4 지방선거에 나설 공천신청자 접수를 마감한 가운데 ‘여성 후보 가뭄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국회의원 선거구별로 여성후보를 의무적으로 공천해야 하는 상황에서 여성 후보자 공천 미신청 지역에서는 여야를 가리지 않고 여성후보 모시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27일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와 각 정당에 따르면 공직선거법상 정당으로 하여금 국회의원 선거구별로 광역 혹은 기초의원 중 1명 이상을 여성으로 추천하도록 돼 있다.

만약 이를 위반할 경우 그 정당이 추천한 해당 국회의원 지역구의 광역 및 기초의원 후보자의 등록은 무효가 된다.

이 제도는 여성 공천을 법적으로 의무화해 여성의 정치참여를 활성화하겠다는 취지에서 도입됐다.

하지만 지역 정가에서는 여야가 공천심사 과정에서 구색맞추기식 여성 후보 영입을 추진하면서 검증되지 않은 여성후보를 선거에 내세울 수도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 15일 새누리당 경기도당의 공천신청 마감 직후 여성 신청자가 없던 지역구는 △화성갑 △고양 일산서 △안산 단원갑 △안산 단원을 △안산 상록갑 △평택갑 △광명갑 △성남 수정 등 8곳이었다.

이에 새누리당 도당은 긴급 추가공모를 통해 국회의원 지역구별로 광역 또는 기초의원 여성 신청자를 확보했다.

추가 공모를 통해 급한 불은 껐지만 자격심사과정 등에서 결격 사유가 확인될 시에는 다시 추가 공모를 해야 하는 상황이 빚어질 수 있어 아직 안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뒤늦게 기초선거 공천 절차에 들어간 새정치민주연합은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다.

새정치연합 경기도당이 지난 19일 광역ㆍ기초의원에 대한 공천신청을 마감했지만 여성 신청자가 없는 지역이 △수원병 △평택을 △포천ㆍ연천 △오산 등 4곳에 이른다.

선거가 불과 한달여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경쟁력 있는 여성 후보자를 물색하기까지는 어려움이 예상된다.

한편으로는 여성 품귀 현상을 이용해 여성 후보들이 자신에게 유리한 조건을 내걸고 선거에 출마하려는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다. 여기에 새정치연합이 지난 25일 기초의원 선거 비례대표 후보를 전원 여성후보로 배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경쟁력있는 지역구 여성후보 발굴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정진욱ㆍ송우일기자 panic82@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