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정혁신단, 혁신과제 논의 특례시 대비 행정조직 정비 등 내달 선포식 앞두고 막바지 검토
이들은 수원형 주민자치 모델 개발, 수원특례시에 대비한 행정조직 정비, 일자리 창출 전략 등을 주요 혁신 과제로 제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시정혁신단은 지난 22∼23일 1박2일 동안 원주시 오크밸리리조트에서 염태영 수원시장이 참석한 가운데 워크숍을 겸한 보고회에서 이같은 혁신과제를 제시하고 최종 수정작업을 하고 있다고 25일 밝혔다.
시정혁신단은 워크숍에서 도시계획시민계획단, 주민참여예산, 마을만들기 등 민선5기 기초를 다진 협력형 자치 모델에서 한 단계 심화시켜 주민주도형으로 수원형 주민자치 모델을 발전시키는 방안을 폭넓게 협의했다.
특히 민관 협치 거버넌스 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송죽동 지역복지형, 행궁동 안전마을형 등 마을만들기 사업이 여전히 협력형에 머물고 있다고 지적하고 앞으로 주민 권한을 확대한 주민주도형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시민자치 인재은행’을 만들어 주민자치 경험자를 관리하고 시민자치대학에서 자치역량을 키우는 한편 확대한 권한 만큼 해당 주민의 책임을 부과하는 방안 등이 폭넓게 논의됐다.
수원특례시에 대비해서는 100만 도시 행정체제를 위한 입법노력을 계속하면서 현장 중심으로 인원과 권한을 배치하는 방식으로 바로잡아야 한다고 권고하기로 했다. 현재 4개 구 체제에 1개 구를 신설해 5개 구로 확대하고, 구청장 권한 및 기구 확대, 동주민센터의 인원보강 전진배치 등으로 주민과 밀착하는 주민 속으로의 행정을 펼쳐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와 함께 시정혁신단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일복 터진 수원’ 프로젝트를 제안하고 복지확대와 사회서비스를 연계한 일자리 확충, 일자리 목표 선 제시 후 사업을 추진하는 일자리 공시제 등을 요구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막바지 검토를 진행 중이다.
한편 더 큰 수원 시정혁신단은 일반 시민, 사회단체 임원, 전문가 등 위촉위원 37명, 공무원 15명 등 52명으로 구성돼 지난달 4일 출범, 총 14차례에 걸쳐 혁신과제를 토론했으며 오는 1일 선포식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지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