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 옴 주의보… 병원, 요양원에서도 감염될 수 있어

'가을철 옴 주의보'

전염성이 높은 피부질환 ‘옴’이 병원이나 요양원에서 옮는 경우도 잦은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대한피부과학회지 최근호에 실린 ‘한국에서 옴 감염의 역학 및 임상적 연구’라는 논문에 따르면 전국 25개 대학병원 피부과 연구팀이 2012년 8월부터 2013년 12월 사이 병원을 찾은 1천539명의 옴 감염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세 미만소아(14.2%)와 60세 이상(13.7%)에서 옴 발병률이 가장 높았다.

1차적인 옴 발병 추정 장소로는 자택이 68%로 가장 많았고, 종합병원·요양원·요양병원이 각각 11.2%, 8.2%, 6.3% 였다.

감염 경로를 추정할 수 있는 환자 중 27.9%(75명)는 함께 사는 성인 가족에 의해 감염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27.1%(73명)는 병원 또는 요양원의 다른 환자나 의료진이 감염원으로 지목됐다.

이와 함께 4.5%(12명)는 병원 또는 요양원의 간병인에 의해 감염이 된 것으로 추정됐으며, 동거하는 소아 가족에게서 감염된 경우도 4.5%(12명)로 조사됐다. 옴은 옴 진드기가 피부에 기생하면서 생기는 질환으로, 밤에 옴 진드기가 피부 각질층에 굴을 만들면 심한 가려움증이 발생하는 게 특징이다.

특히 요즘과 같은 가을철에 감염되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요구된다.

옴 발병 시에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만큼 환자를 격리 치료하고, 같은 방을 쓰던 사람들도 3주 가량의 잠복기간을 감안해 하루나 이틀 정도 옴 치료를 받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

또 감염환자가 사용하던 침구와 속옷도 반드시 빨아서 일광소독을 해야 예방할 수 있다.

이관주기자

사진= 가을철 옴 주의보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