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영흥화력발전소(영흥火電)의 7·8호기(174만KW) 증설문제를 놓고 3년째 논란을 빚고 있다. 인천경실련이 지난 7일 주최한 ‘영흥도 유연탄화력발전소 증설 사업’ 토론회에서도 환경보호와 수도권 전력의 안정적 공급 및 지역경제 활성화 논리가 충돌, 치열한 공방이 벌어졌다.
영흥화전은 수도권 전력 수요의 25%를 공급하는 석탄 발전(發電) 핵심시설이다.영흥화전은 2004년 11월 1·2호기(각 80만KW)가 가동된 데 이어 올해까지 3~6호기(각87만KW)가 단계적으로 증설돼 왔다.
7·8호기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원전 사고 여파 등으로증설을 결정, 2013년 2월 확정한 제6차 전력수급계획에 반영됐고, 연료는 역시 석탄이다.석탄의 최대 장점은 경제성이다. 유연탄의전기 생산 원가는 KW당 40원 이하로, 130원이상인 액화천연가스(LNG)보다 크게 저렴하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은 2012년영흥화력 7·8호기 증설 경제성 분석 보고서에서 LNG 가격 대비 3분의 1 수준인 유연탄을연료로 쓰면 연간 1조원의 연료비를 절감, 전기요금을 2.6% 정도 낮출 수 있다고 분석했다.하지만 문제는 대기오염이다. 1~6호기에서나오는 대기오염 물질이 인천시 전체의 60%에 이르고 있다.
인천시에 따르면 지난해 기존 1~4호기의 연간 질소산화물 배출량은 3천863t으로 허용치(4천249t)에 근접했다. 황산화물도 5천518t(허용치 6천83t)을 배출했다.따라서 환경단체들은 유연탄이나 LNG를 불문하고 7·8호기 증설 자체를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현지 주민들은 영흥화전이 건설되면서 화전 측 지원(1천200원)으로 영흥도~선재도~대부도를 잇는 다리가 놓이는 등 지역이개발됐다며 주민 91%가 증설 찬성 서명 명부를 정부에 전달했다. 해당 지자체인 옹진군과군의회도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증설을 촉구하고 있다. 인천시는 증설을 반대 하지는 않지만 발전 연료의 LNG 대체를 바라고 있다.하지만 영흥화전 측 견해는 다르다.
환경단체 등의 우려와 달리 ‘천정 석탄기술’을 도입하는 등 기존 1~6호기의 설비를 획기적으로 보강해 7·8호기를 증설해도 법으로 정한 배출허용 총량을 초과하지 않을 거라고 자신하고 있다. 그렇다면 환경논란을 잠재우기 위해 객관적으로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공해저감 기술검증이 필요하다. 검증 결과에 따라 증설 여부를결정하면 될 일이다.
영흥화전은 석탄화전에 대한 부정적 선입견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첨단기술을 과학적으로 입증하고, 지속적으로 진화된 공해저감 기술개발에 나서야 한다. 아울러 풍력·태양광 발전처럼 청정 발전 시설의 대폭 확대방안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