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동풍 격이다. 세월호 참사 이후 박근혜 대통령이 퇴직 관료들의 산하 기관 낙하산 투하를 막아 관피아(관료+마피아)뿌리를 뽑겠다고 한 약속과 다짐이 허공을 맴돌고 있다. 인천시 본청 및 관내 기초단체의 퇴직 간부가 전문성과 무관하게 의례히 산하 기관·단체로 재취업하는 마피아 문화가 사라지지 않고 있다. 해피아(해양수산부)·모피아(기획재정부 등)·산피아(산업통상자원부)·교피아(교육부)·국피아(국토교통부) 등 상당수 중앙 부처에서 이뤄지는 악폐가 지방 관료조직에서도 뿌리박고 자행되고 있는 것이다.
인천시는 유정복 시장 취임 이후 지난 7월 인천환경공단 이사장과 인천교통공사 상임감사 자리를 전·현직 고위 공무원 출신으로 채웠고, 최근엔 한 자치구 부구청장의 교통공사 사장 내정설이 나돌고 있다. 인천시 중구는 지난 12일부터 제3대 시설관리공단 이사장 공개모집에 들어갔지만 형식만 ‘공모’일 뿐이다. 내용적으론 이미 이사장 자리에 정년을 1년여 앞둔 A 과장이 곧 명예퇴직 후 옮겨 앉을 거라는 소문이 파다하다.
퇴직 관료가 정해진 순번에 따라 산하 기관장 자리 꿰차기가 당연시되고 있다. 앞서 구 시설관리공단의 초대와 2대 이사장도 퇴직 간부가 차지, 사실상 퇴직 공무원들의 후속 재취업 자리가 됐다. 또 이달 말 공모 예정인 구 노인인력개발센터장 자리도 관내 B 동장이 사실상 내정된 상태다. 정년을 2년여 앞둔 B 동장은 오는 24일 명예퇴직 한다.
중구뿐만 아니라 다른 지자체 산하의 노인인력개발센터장 자리는 단골 관피아 대상으로 굳어지고 있다. 연수구의 국장급 간부 C씨는 정년을 2년 앞두고 청학노인문화센터장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지난 4월엔 노인인력개발센터장으로 옮겼다. 공석인 청학노인문화센터장 자리는 또 다른 퇴직 간부인 D 과장으로 채워졌다. 남구 노인인력개발센터장 자리도 명퇴한 E 과장이 차지했다.
이 같은 퇴직 관료들의 산하 기관 낙하산 재취업 악폐는 관료사회가 경쟁보다는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식의 담합 결과로 관행화됐다. 공직사회에서 50대 초반이면 후배들에 떠밀려 용퇴해야 한다. 정년퇴임을 1~2년 앞두고 명퇴하는 이들에게 지자체장이 보상 차원에서 산하 기관의 이사장 등 높은 자리를 제공한다. 관피아의 폐해는 세월호 참사에서 이미 드러났다. 관료들이 ‘마피아’로 불리는 건 공직생활에서 쌓은 공(功)을 하루아침에 무너뜨리는 불명예스런 악명이다. 관료사회는 이런 오명을 씻기 위해서라도 나쁜 관행을 깨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