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대통령 사저 관련 예산 놓고 고양시의회 여야 찬반 논쟁

새누리 “태어난 곳 아니다”
새정치 “당선때 거주 상징성”

고양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이하 예결위)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 사저와 관련된 예산을 놓고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간 찬반 논란이 벌어졌다.

예결위는 10일 시 창조성장개발국(마이스산업육성과ㆍ신한류관광과ㆍ첨단지식산업과)에 대한 2015년도 일반 및 특별회계 세입세출 예산안 심사를 진행했다.

이날 논란이 된 항목은 마이스산업육성과가 내년도 예산안에 2천만원을 편성한 ‘김대중 전 대통령 사저 활용방안 연구용역’이다. 시는 김 전 대통령이 거주했던 일산 사저를 평화인권센터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용역 예산을 편성했다.

질의에 나선 새누리당 박상준 의원(주엽1ㆍ주엽2동)은 “(김 전 대통령이 고양시에서) 태어나지도 않았고, 초ㆍ중ㆍ고를 다니지도 않았는데 할 필요가 있느냐”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사저를 활용하려면 매입비, 리모델링비 등 수십억 원의 예산이 필요한데, 현재 시 재정 여건을 고려할 때 꼭 해야 하는지 의문”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 김운남 의원(일산2ㆍ일산3동)은 이 용역이 꼭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김 의원은 “김 전 대통령이 당선될 때 거주했다는 상징성이 있고, 당선된 뒤 처음으로 언론에 나온 곳이 일산 사저이기 때문에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100년, 200년 후를 생각해서라도 김 전 대통령 사저를 보존해야 된다”며 “사저 활용을 정치적이기 보다는 시민문화운동 방식으로 접근해야 된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두 의원이 한 예산 항목을 놓고 찬반 입장을 보이고 있어 예결위 전체 의원들의 표결로 이 예산은 처리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김 전 대통령 사저는 일산동구 정발산동 인근 주택가에 토지면적 440㎡, 연면적 459㎡에 지하1층, 지상1~2층 2개 동으로 구성돼 있다.

시는 2012년 국비 지원을 받아 김 전 대통령 사저를 평화인권센터로 만들 계획이었으나, 국비 지원이 안돼 사업이 무산된 바 있다.

당시 정부는 김 전 대통령 사저 명목으로 신안 하의도에 지원하는데, 고양시에 예산을 주면 이중지원이 된다며 시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고양=김현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