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종교] 누가 이들의 친정부모가 될 것인가?

우리나라에 결혼하여 들어오는 이들은 대부분 아주 젊은 여성들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결혼생활에 대한 아무런 이해도 없는 이들입니다. 아마도 대부분의 여성들이 그러하듯이 결혼에 대한 선 이해가 없는 여성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결혼생활을 잘 안내하는 사람이 필요하다는 것을 실감하게 됩니다.

게다가 국제결혼입니다. 본국이 아닌 다른 나라로 결혼한 이들이기에 더욱 한국과 결혼생활이라는 두 가지의 현상을 잘 안내해줄 사람이 필요한 것입니다. 같은 나라에서의 결혼도 참으로 쉽지 않은데, 국제결혼 얼마나 어렵겠습니까?

저는 이들에게 친정부모의 역할을 대신해주어야 하는 누군가가 있어야 함도 느낍니다.

C양은 어느 날 메시지를 보내왔습니다. “신부님! 남편이 자주 술을 마시는데 어떻게 하지요?” 저는 그녀의 질문에 결혼생활의 경험도 없는 저는 딱히 해줄 말이 없었지만 분명 무엇이라고 해답을 주어야만 했고, 그래서 보통 한국 남자들은 사업상으로 술을 마실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고 또한 관계에 대한 갈등으로 술을 마시기도 하니까 잔소리만 하지 말고 역으로 잘 대해주라고 전했습니다.

그러나 다시 전화가 왔는데, 잘해주어도 술을 계속마신다고… 필자는 다시금 그녀에게 제안하였습니다. 한국의 현명한 아내는 자기의 일을 찾으면서, 남편에서 크게 의존하고 집착하지 않고 살아간다고 전하였습니다. 그녀는 현재 유치원의 교사로 독립적으로 살아가며 결혼생활을 잘 유지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D양은 집을 나와 쉼터로 왔습니다. 사연인 즉 남편이 마마보이고, 벌고자 하지 않는 의존형의 남자이기 때문이었고, 자녀를 3명이나 낳았지만 그녀에게 주어지는 것은 아무런 것도 없었다고 합니다.

살림을 주도적으로 관리하는, 아이들을 키우는 권한도 없기에 시어머니로부터의 독립과 분가를 선언하였으나 아무런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습니다. 결국 그녀는 집에서 나와 구직활동을 하며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 살아가고 있습니다.

결혼은 새로운 삶의 도전입니다. 그리고 수수께끼는 아무도 결혼에 대한 사전 이해와 배우자에 대한 이해가 없다는 것입니다. 또한 결혼이주자들은 이민국에 대한 이해도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그러하기에 끊임없는 노력하여 잘 살아가는 법을 앞서 살아간 이들이 가르쳐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고부간의 문화는 변화되어야 하는데, 두 여자가 한 남자를 차지하려면 그 자체가 전투이기 때문에 차라리 좋은 관계를 맺을 자신이 없다면 분가해서 잘 사는 것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심한 갈등으로 사는 부부에게 처방으로 분가하라 했고, 분가해서 잘사는 결혼이주자들이 많이 있습니다.

최병조 수원교구 이주사목위원장∙신부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